[국어국문학과] 2023년 2학기 한국문화자원의이해1 기말시험 핵심체크
목차
제2장 고분제3장 사찰과 사찰 건축
제4장 불상과 법당
제7장 대한제국과 경운궁
제10장 조선시대 성균관과 학교
제11장 조선시대 서원
제12장 한국의 전통정원
제13장 전통정원 사례
제14장 조선시대 왕릉
제15장 한국의 근대건축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본문내용
제2장 고분1. 청동기 철기시대의 고분
1) 고인돌
① 탁자식 고인돌
- 북방식 고인돌이라고 함
- 동서남북 4개의 판석을 굄돌로 세워 널방을 만들고 널방에 시신을 안치한 뒤 그 위에 넓고 커다란 상석을 올려놓은 형태임
- 언덕이나 산자락에 우뚝 서 있는 경우가 많음
② 바둑판식 고인돌
- 남방식 고인돌이라고 함
- 땅을 파고 돌방을 만들어 그 안에 시신을 안치한 뒤 그 위에 작은 받침돌을 깔고 다시 그 위에 커다란 상석을 얹는 형태임
③ 개석식 고인돌
- 바둑판식 고인돌과 비슷하지만 받침돌이 없음
- 돌널위에 상석을 직접 올려놓은 형태임
- 외관상 상석이 바둑판식 고인돌보다 얇다는 점에서 바둑판식과 구별됨
- 우리나라의 거의 전 지역에서 출토됨
2) 돌널무덤
① 지하에 무덤구덩이을 파고 판돌이나 깬돌, 강돌 등으로 상자 모양의 돌널을 만들고 그 위에 1매이상의 뚜껑돌을 덮은 무덤양식임
② 개석식 고인돌의 지하 구조와 비슷
3) 돌무지무덤
① 돌로 봉분을 쌓아 만든 무덤임
② 기원전 8~7세기경에 조성된 요동 반도 남단의 강상과 누상무덤은 당시의 군장 또는 전사의 무덤으로 추정됨
③ 부장품이나 무덤의 특징을 볼 때 고조선시대에 계급이 존재했다는 증거자료가 됨
4) 널무덤
① 땅에 구덩이를 파고 나무로 만든 널을 안치한 무덤을 널무덤, 움무덤 또는 토광묘라고 함
② 엄밀하게는 흙을 파서 구덩이를 만들고 널 없이 시체를 바로 매장한 움무덤과 구덩이에 나무로 만든 널을 안치한 널무덤으로 구분할 수 있음
③ 널의 외부와 위를 돌로 채운 돌무지널무덤도 대구 팔달동과 경주 조양동 등지에서 발견됨
5) 덧널무덤
① 토광에 나무로 만든 널과 덧널을 안치한 무덤을 덧널무덤이라고 함
② 덧널무덤은 2중의 나무덧널 시설을 마련하고 매장한 것임
③ 널과 이를 덧씌운 덧널을 쓰는 무덤 양식임
6) 독무덤
① 항아리 하나를 세우거나 두 개 또는 세 개를 뉘어 맞붙여서 관으로 쓰는 무덤양식임
② 유아를 매장하거나 화장 후 뼈를 추려 매장한 2차장의 성격이 강함
7) 주구묘
① 구덩이로 된 매장 주체부 주위에 일정한 형태의 도랑을 파 돌린 무덤 양식임
② 매장주체부는 기본적으로 움무덤에 나무덜과 나무덧널이 사용됨
2. 고구려의 고분
1) 돌무지무덤(적석총)
① 고구려의 재래식 무덤은 돌무지무덤이며 건국시기부터 집안 지방 진출시기의 초기 무덤들은 혼강 유역인 요령성 환인 지방과 압록강 남안인 독로강 유역 등의 강가에 분포함
③ 돌무지무덤은 강변 대지나 구릉성 대지 혹은 산기슭에 여러 개가 열을 지어있음
④ 돌무지무덤의 형식은 외형 혹은 매장부의 특징을 기준으로 분류됨
⑤ 외형은 무기단식, 기단식, 계단식으로 매장방식은 구덩식과 굴식의 돌널, 돌 덧널, 돌방으로 분류하기도 함
⑥ 대표적인 고분: 태왕릉, 장군총
2) 굴식 돌방무덤
① 지상이나 반지하에 돌로 널길과 널방을 짜고 그 위에 흙을 덮어 봉분을 만든 무덤임
② 널방의 벽과 천장에 벽화를 그리기도 했고 말각 조정이라는 특징적인 천장 결구 방식이 사용되기도 함
③ 고구려의 돌방무덤의 출현은 낙랑군을 멸망시키고 평양으로 진출한 4세기 전반부터로 생각됨
④ 돌방무덤의 매장부는 단칸 구조, 앞방, 널방의 두칸구조, 세칸이 통로로 연결된 것, 현실이나 전실에 측감이나 측실이 달리 것 등 여러 형태가 있음
⑤ 벽화의 고분은 그림 내용에 따라 생활풍속도, 장식도, 사신도 벽화분으로 나눔
⑥ 대표적인 고분: 안악 3호분, 덕흥리 고분, 쌍영총, 수산리 고분, 무용총, 각저총, 강서고분, 별자리 그림 벽화
- 중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