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사회 2023년] 1. 교재 7장(사회불평등과 계급 계층)을 읽고 참고하여 우리 사회의 불평등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해 묘사하고, 2. 교재 3장(사회를 바라보는 관점들)을 읽고 사회불평등에 영향을 주는 사회구조적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한 다음, 3. 이것이 자신 또는 주변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서술하시오.
*동*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교양과목 | 학년 | 공통 |
---|---|---|---|
과목명 | 인간과사회 | 자료 | 104건 |
공통 |
1. 교재 7장(사회불평등과 계급·계층)을 읽고 참고하여 우리 사회의 불평등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해 묘사하고,
2. 교재 3장(사회를 바라보는 관점들)을 읽고 사회불평등에 영향을 주는 사회구조적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한 다...
1. 교재 7장(사회불평등과 계급·계층)을 읽고 참고하여 우리 사회의 불평등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해 묘사하고,
2. 교재 3장(사회를 바라보는 관점들)을 읽고 사회불평등에 영향을 주는 사회구조적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한 다음, 3. 이것이 자신 또는 주변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서술하시오. |
소개글
[인간과사회 2023년]1. 교재 7장(사회불평등과 계급·계층)을 읽고 참고하여 우리 사회의 불평등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해 묘사하고,
2. 교재 3장(사회를 바라보는 관점들)을 읽고 사회불평등에 영향을 주는 사회구조적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한 다음,
3. 이것이 자신 또는 주변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서술하시오.
- 1번 문제는 청년세대의 불평등 문제를 선택하여 묘사하였습니다.
- 2023년 2학기 인간과사회 중간과제 작성하기에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 교재, 서적, 학술지, 논문 등을 활용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교재 7장(사회불평등과 계급·계층)을 읽고 참고하여 우리 사회의 불평등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해 묘사
1) 청년세대 불평등
2) 우리 사회의 청년세대 불평등 묘사
2. 교재 3장(사회를 바라보는 관점들)을 읽고 사회불평등에 영향을 주는 사회구조적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
1) 세계화
2) 노동시장 이중구조
3) 고령화에 따른 핵가족화
4) 기술 변화
5) 산업구조의 변화
3. 이것이 자신 또는 주변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서술하시오.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청년세대를 지칭하는 다양한 표현들이 등장하고 있다. 연애·출산·결혼을 포기했다는 뜻의 삼포세대를 비롯하여 연애·출산·결혼·인간관계·내집마련을 포기한 오포세대, 이에 더하여 꿈과 희망까지 포기한 세대를 일컫는 칠포세대라는 용어까지 등장하였다. 또한 부모의 재산이 많아 스스로 노력하지 않아도 축적된 부를 누릴 수 있는 사람을 ‘금수저’, 빈곤한 부모 슬하에 태어난 사람을 ‘흙수저’에 비유하는 등 청년들은 심화되고 있는 불평등에 대한 자조와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한국사회는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해 신사회적 위협 인해 청년문제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으나 여전히 청년은 사회정책 대상에서 빠져있으며 권리로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기존 산업사회적 맥락에서는 존재하지 않던 불안정고용, 장기실업, 근로빈곤, 한부모 가족, 일·가정 생활의 양립 불능 등의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위험’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청년 세대는 이러한 사회구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세대로서 구 사회적 위험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새로운 문제들을 겪게 되었다. 그러나 현실의 변화를 제도가 따라잡지 못한 결과 청년 세대는 복지정책에 있어서 사각지대에 놓이는 처지가 된다. 그 결과 청년 내에서의 불평등 문제는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다.한국의 사회불평등의 심화는 경제 및 사회구조의 변화와 맞물려서 진행된다. 이러한 경제 및 사회구조의 변화에는 세계화, 지식정보화, 신기술의 도입,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 인구 고령화, 가족구조의 변화 등이 포함된다. 경제 체제의 개방화와 IT 기술의 등장으로 생산체제의 변화가 발생하면서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더불어 탈산업화도 중요한 기제로 작용한다. 외환위기 이후 기업수준에서 구조조정과 정리해고가 일상화되면서 조기퇴직이 정착되고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졌다. 사회불평등 구조 속에서 사회갈등이 야기되고 결국 사회적 자본이 감소하게 된다.
참고 자료
김승연,최광은,박민진(2020). 장벽사회, 청년 불평등의 특성과 과제. 서울연구원.김진현(2021). 청년이 인식하는 소득불평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41(2).
이원재(2015). 청년세대 격차문제와 새로운 정책패러다임의 필요성. 경제논집, Vol.54 No.2.
서성민 외(2016). 청년 세대 다차원적 불평등 연구. 복지국가청년네트워크 정책연구원.
이주미,김태완(2022). 청년층 불평등 현황과 과제(노동시장, 소득 및 자산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황선자,이철(2007). 세계화와 제도(노동시장제도와 복지제도를 중심으로). 한국노총중앙연구원.
김문길,김태완,박형존(2012). 인구구조 변화가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영배(2009). 과학기술정책과 사회적 불평등.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전병유,황인도,박광용(2018).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와 정책대응(해외사례 및 시사점). 한국은행.
손민규,황설웅(2023). 우리나라의 인구고령화와 소득불평등. 한국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