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이라는 용어는 ‘시도하다, 설득하다, 책임지다’라는 의미를 가진 프랑스어 ‘앙트러프랑(entreprendre)’에서 유래되었다.1) 기업가정신이라는 용어를 가장 먼저 사용한 사람은 프랑스 경제학자 리차드 드 칸틸런(Richard de Cantillon)로 그에 따르면 기업가정신은 위험(risk)이 있는 새로운 사업을 운영하기 위한 경영자들의 창의적이고 모험적인 성향을 의미한다.2) 기업가정신의 사전적 정의는 ‘기업의 본질인 이윤 추구와 사회적 책임의 수행을 위해 시도하고 설득하고 책임지는 기업가가 마땅히 갖추어야 할 자세나 정신’3)이다. 유래와 사전적 정의만으로 기업가정신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자세와 정신이 모호한 개념인 만큼 상황이나 시대 그리고 학자에 따라 기업가정신에 대해 서로 다른 정의를 내리고 있다. 본고에서는 경제학자 슘페터(Schumpeter)와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Peter Ferdinand Drucker)의 이론을 중심으로 기업가정신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글로벌기업 3M의 경영을 분석하여 기업가정신을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 이설, 「[Global CEO & Issue focus] 잉게 툴린 3M 회장 겸 최고경영자」, 『한국경제』, 2018.04.12.
· 손석호, 「사례연구 : 3M의 사내벤처 기업문화와 혁신경영」, 한국경영자총협회, 2013.12
· 「철학으로 본 앙트러프러너십」, 전인수, 살림출판사, 2016
· 최유재 인테크연구소 대표, 「기업가정신과 성공적인 창업」, 『next economy』, 2010.06.24.
· 두산백과 두피디아, 기업가정신
· 이정흔, 「‘창조적 파괴’ 주창한 슘페터」, 『매거진한경』, 2019.03.28.
· 한현옥,「기업가정신과 혁신」, 한국경제연구원, 2013.09.09.
· 김흥길,「[김흥길 교수의 경제이야기] 신기업가정신과 기업선언문」, 『경남일보』, 2022.06.07.
· 정선양, 「슘페터와 기술혁신 : 「경제발전의 이론」 독일어 제1판의 주요 내용과 현대에 대한 시사점」, 기술혁신학회지 제23권 제2호, 2020.4
· 이정흔, 「‘도전과 모험이 혁신을 부른다’…다시 읽는 슘페터와 드러커」, 『매거진한경』, 2019.03.26.
· Peter Drucker, Innovation and Enterpreneurship : Practice and Principles, Harper and Row, 1985
· 고기완, 「[Cover Story] 슘페터: 기술혁신을 통한 창조적 파괴…드러커: 기회를 사업화 하는 모험정신」, 『한국경제』, 2015.11.27.
· 「미래사회를 이끌어가는 기업가정신」, 피터 드러커, 한국경제신문사, 2004
· 이정흔 「‘경영의 혁신’ 강조한 드러커」, 『모바일한경』, 2019.03.031
· 이동현, 기업 목적은 '이익 극대화'아닌 '고객 만족', 동아비즈니스리뷰, 2010.3
· 윤병섭, 「[기고] 장수기업은 연구개발 '실패지식'을 활용한다」, 『중소기업투데이』, 2022.10.12.
· 3M(https://www.3m.co.kr/3M/ko_KR/compan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