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c ) 1. 관찰법의 개념, 관찰기록방법, 진행절차를 간단히 기술하고 관찰기록방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한 뒤 그것의 선택 이유를 간단히 밝히고 그 관찰기록방법
ReportRed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유아교육과 | 학년 | 4학년 |
---|---|---|---|
과목명 | 교육평가 | 자료 | 11건 |
C형 |
1. 공통형(25점)
➀관찰법의 개념, 관찰기록방법, 진행절차를 간단히 기술하고(10점), ➁관찰기록방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한 뒤 그것의 선택 이유를 간단히 밝히고(5점) ➂그 관찰기록방법을 교육현장이나 생활현장에서 직접 실시한 기...
1. 공통형(25점)
➀관찰법의 개념, 관찰기록방법, 진행절차를 간단히 기술하고(10점), ➁관찰기록방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한 뒤 그것의 선택 이유를 간단히 밝히고(5점) ➂그 관찰기록방법을 교육현장이나 생활현장에서 직접 실시한 기록과 그에 따른 결과를 기술하시오(10점) 2. 지정형(5점) C형(학번 끝자리가 7-0): 수행평가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시오.(1페이지 정도 분량) |
목차
1. 관찰법의 개념, 관찰기록방법, 진행절차를 간단히 기술하고 관찰기록방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한 뒤 그것의 선택 이유를 간단히 밝히고 그 관찰기록방법을 교육현장이나 생활현장에서 직접 실시한 기록과 그에 따른 결과를 기술하시오.2. 수행평가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시오.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찰이란 대상이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특정 상황에서 인간의 행동을 살펴보고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것으로 인간의 실제 행동에 대한 정보를 얻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 수집 방법이다. 특히 관찰법은 언어적 의사소통에 제한적인 영유아의 발달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며 영유아의 행동을 이해하는 기본적이고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평가 방법이다. 관찰은 실시함으로써 교육기관, 교사, 유아, 부모 등의 측면에서 중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필요하다. 연구대상의 발달수준· 흥미· 강점 등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에 기초한 개별 아동 발달 수준에 대한 이해는 교사가 개별 아동이 필요로 하는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교사의 교수 실제를 평가하고 교사발달 프로그램 개발, 교사의 전문성 계발의 기초가 되고, 행정가에게는 프로그램 전반의 개요를 제공한다. 유아 관찰 기록은 부모나 동료교사, 운영자들 간의 소통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모와의 면담에 활용되거나 유아를 둘러싼 환경이나 행동의 전후 맥락을 파악하는데도 적합하다.유아를 관찰하는 방법에는 일화기록법, 체크리스트, 평정척도법, 시간표집법, 사건표집법 등이 있다. 먼저 일화기록법은 특별히 정해진 양식 없이 영유아의 놀이, 일상적 활동 등 사건이나 상황을 순서대로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관찰하여 기록하는 방법이다. 교사, 외부 전문가에 의해 유아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관찰 방법으로 행동의 전반적인 흐름이나 주요 행동, 행동의 진행 상황 등을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이때 관찰 대상인 유아의 일부 행동만을 관찰· 기록하기 때문에 해석 시 오류를 범할 수 있고, 관찰 당시의 충분한 상황 설명 부족으로 자료의 가치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중요한 한 가지 사건 기록을 위해 사용할 수 있고 관찰 대상 유아뿐만 아니라 해당 유아와의 대화와 영향을 주는 환경에 대해서도 기록한다.
참고 자료
강경민 외 19명, 『보육교사 승급교육 1급』, 양성원, 2021, p.180~186문혁준 외 8명, 『유아발달』, 창지사, 2014, p.112~113
신지연, 신혜원, 서원경, 박원순, 『영유아교수학습방법』, 파워북, 2016, p.243~247
지은림, 「수행평가의 교육적 의미와 동향」, 『행복한 교육』,(2016.04), p.56~57
Edu연구소2, “수행평가 과제의 제작 절차”, 교육문화연구소,
https://www.edulabkorea.com/reference/appraisal.php?ptype=view&code=appraisal&idx=593&category=53, 2023.03.31
권용병, “수행평가과제에 대한 분석적 채점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p.3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