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대중문화의이해(공통) - 교재 108쪽에는 젊은 세대의 자유분방한 문화적 에너지가 과거와는 다른 자발적 참여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갈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 표현이 나옵니다. 이 내용을 참조하면서 2000년대 이후 우리 사회에 나타난 자발적 참여 문화의 사례를 들고 그에 대해 분석해 보십시오.
- 최초 등록일
- 2023.07.24
- 최종 저작일
- 2023.07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과제정보
학과 |
생활과학과, 문화교양학과 |
학년 |
1학년 |
과목명 |
대중문화의이해 |
자료 |
27건
|
공통 |
교재 108쪽에는 “젊은 세대의 자유분방한 문화적 에너지가 과거와는 다른 자발적 참여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갈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 표현이 나옵니다. 이 내용을 참조하면서 2000년대 이후 우리 사회에 나타난 자발적 참여 문... 더보기
교재 108쪽에는 “젊은 세대의 자유분방한 문화적 에너지가 과거와는 다른 자발적 참여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갈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 표현이 나옵니다. 이 내용을 참조하면서 2000년대 이후 우리 사회에 나타난 자발적 참여 문화의 사례를 들고 그에 대해 분석해 보십시오. 분석을 하실 때는 자발적 참여 문화가 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을 살펴본 후, 이 사례에서 문화의 주체는 누구였으며 그들의 속성은 어떠하였는지, 또 어떤 방식으로 참여가 이루어졌고 이런 방식이 자발적이었다고 볼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지, 과거 유사한 사례와 비교해 볼 때 이 방식의 새로움은 무엇이었는지 등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분석을 해 주십시오.(30점) 접기
|
소개글
2023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온라인제출용)
대중문화의이해(공통)
[과제명]
교재 108쪽에는 “젊은 세대의 자유분방한 문화적 에너지가 과거와는 다른 자발적 참여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갈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 표현이 나옵니다. 이 내용을 참조하면서 2000년대 이후 우리 사회에 나타난 자발적 참여 문화의 사례를 들고 그에 대해 분석해 보십시오. 분석을 하실 때는 자발적 참여 문화가 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을 살펴본 후, 이 사례에서 문화의 주체는 누구였으며 그들의 속성은 어떠하였는지, 또 어떤 방식으로 참여가 이루어졌고 이런 방식이 자발적이었다고 볼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지, 과거 유사한 사례와 비교해 볼 때 이 방식의 새로움은 무엇이었는지 등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분석을 해 주십시오.(30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발적 참여 문화의 사례
2. 사례 분석
1) 등장 배경
2) 문화의 주체와 속성
3) 참여가 이루어진 방식과 특성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K-POP이 세계적인 주목을 받으며 한국의 대중음악에 대한 문화적 가치와 지위도 크게 상승하고 있다.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대중음악과 관련된 상품, 공연, 예능, 전시회 등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관객(팬)의 입장에서는 대중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는 뮤지션을 직접 보고 공연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그리 흔치 않다. 하지만 단순히 라이브 음악을 듣는 것이 목적이라면 거주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버스킹 현장을 찾아가면 된다.
“버스킹(Busking)은 거리 예술의 일종으로,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돈을 얻기 위해 공공장소에서 연주 혹은 노래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버스킹을 하는 연주자 혹은 음악가를 버스커(Busker)라 부른다.” 버스킹이란 용어는 19세기 후반 영국 런던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국내에서는 2000년대 이후부터 인식이 확대되었다. 버스킹은 공연자와 관객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대표적인 문화현상이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2000년대 이후 우리 사회에서 유행처럼 확산되어 이제는 대중문화로 자리 잡은 버스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창남, 최영묵, 정준영(2018). 대중문화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유다정, 김지윤, 신하람 외 1명(2016). 홍대 앞 버스킹 문제 해소를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 디자인,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5권제3호, pp. 187-202
조장원(2018). 우리 주변에서 부상하는 버스킹의 현장: 그 실태와 가치 부상의 가능성 연구. 음악과문화 제37호, pp. 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