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사회문제론]21년 1학기 기말
- 최초 등록일
- 2023.05.31
- 최종 저작일
- 2021.05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한국 사회에서 건강 불평등은 점차 중요한 사회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① 건강 불평등을 정의하고, ② 건강 불평등을 설명하는 여러 모델을 설명한 후 ③ 코로나19 시대를 겪으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는 건강 불평등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④ 사회문제로서 이러한 건강 불평등을 앞으로 어떻게 해결해가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가능하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면서 서술하시오.
목차
1. 서론 : 건강 불평등의 개념
2. 본론 : 건강 불평등 모델 및 코로나19 시대의 문제점
1) 건강 불평등 모델 고찰
2) 코로나19로 인한 건강 불평등 문제 : 취약계층의 영양 부족 심화
3. 결론 : 취약계층의 영양 부족 감소를 위한 방안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헌법에 보장된 평등권과 행복추구권은 우리나라의 모든 국민에게 보편적인 평등과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도록 보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보건의료 체계는 보편주의에 입각하여 국민건강보험을 중심으로 모든 국민의 동등한 건강서비스 혜택을 보장하고 있으며, 헌법에 명시된 평등권과 행복추구권을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모든 국민은 성별, 나이, 소득, 사회적 지위와 이념 등에 상관없이 공평하게 보건, 복지, 의료서비스 혜택을 받아야 하며 이를 공공 및 민간의 보건의료시스템이 지원하여야 한다. 하지만 우리사회는 최근 소득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한계에 도달하면서 불평등의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건강상의 문제에서도 사회적 불평등의 문제가 매우 심각하게 떠오르고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성별이나 연령뿐만 아니라 소득이 높고 교육을 많이 받거나 직업상의 지위가 높은 사람들이 저소득층이나 교육과 고용에서 낮은 지위 에 머물러 있는 집단에 비해 월등하게 건강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김원철, 2015). 과거에는 건강의 문제를 개인의 유전적 요인이나 건강관리측면의 행동요인에서 찾으려 했다. 반면 최근에는 건강문제를 사회제도, 특히 보건이나 사회복지의 영역의 문제로 보고 논의하는 추세이다. 만일 건강의 차이가 보건의료체계와 사회복지정책에 의해 결정되어버리는 것이라면 소득이나 교육, 고용상의 불평등보다 훨씬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이다(김원철, 2015).
참고 자료
구도완 외 13인(2017), 한국사회문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원철(2015),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이 근골격계 희귀난치성질환자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 건강불평등 모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국민일보(2021,03,15), 코로나19, 취약계층 ‘영양 부족’ 현상 부른다
뉴데일리(2020.04.28), 코로나發 식량위기 가시화?…"빈곤·취약층이 위험하다“
연합뉴스(2020.05.07.), 서울 초중고생, 1인당 10만원씩 '식재료 꾸러미'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