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_22학년도1학기)_소송과강제집행(공통) - 甲이 丙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하려면, 어느 법원에 하여야 하는가
지식공유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법학과 | 학년 | 4학년 |
---|---|---|---|
과목명 | 소송과강제집행 | 자료 | 13건 |
공통 |
대구에 사는 甲은 졸업식을 위해 KTX를 타고 대학로에 있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본교로 출발하였다. 서울역에서 내린 후 乙이 운전하는 택시를 타고 학교로 가다, 음주운전을 한 丙이 운전하는 차와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전치 4주의 ...
대구에 사는 甲은 졸업식을 위해 KTX를 타고 대학로에 있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본교로 출발하였다. 서울역에서 내린 후 乙이 운전하는 택시를 타고 학교로 가다, 음주운전을 한 丙이 운전하는 차와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전치 4주의 상해를 입었다. 丙은 경찰의 개입을 막기 위하여 치료비 등 일체의 손해를 배상하겠다고 약속하면서 자신의 주소와 성명 등을 甲에게 알려 주었다. 그러나 그 주소와 성명 등은 실제로는 A의 것이었다.
1. 甲이 丙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하려면, 어느 법원에 하여야 하는가? (10점) 2. 甲이 A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하였다고 할 경우, 이 소송에서 피고는 누구인지에 대해 설명하고, 성명모용소송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설명하라. (20점) |
소개글
2022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온라인제출용)소송과강제집행(공통형)
<과제명>
대구에 사는 甲은 졸업식을 위해 KTX를 타고 대학로에 있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본교로 출발하였다. 서울역에서 내린 후 乙이 운전하는 택시를 타고 학교로 가다, 음주운전을 한 丙이 운전하는 차와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전치 4주의 상해를 입었다. 丙은 경찰의 개입을 막기 위하여 치료비 등 일체의 손해를 배상하겠다고 약속하면서 자신의 주소와 성명 등을 甲에게 알려 주었다. 그러나 그 주소와 성명 등은 실제로는 A의 것이었다.
1. 甲이 丙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하려면, 어느 법원에 하여야 하는가? (10점)
2. 甲이 A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하였다고 할 경우, 이 소송에서 피고는 누구인지에 대해 설명하고, 성명모용소송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설명하라. (20점)
목차
1. 甲이 丙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하려면, 어느 법원에 하여야 하는가?1) 소송의 주체 - 법원
2) 관할권의 종류
3) 甲이 소를 제기해야 하는 법원
2. 甲이 A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의 소를 제기하였다고 할 경우, 이 소송에서 피고는 누구인지에 대해 설명하고, 성명모용소송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설명하라.
1) 당사자
2) 소송에서의 피고
3) 성명모용소송과의 차이점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소송의 주체 - 법원소송의 주체 중 하나로 법원은 구체적인 소송사건을 심리 및 재판하는 재판기관을 의미한다. 재판기관은 합의부와 단독판사로 구분된다. 합의부는 “재판장과 합의부원(하급심에서는 보통 배석판사라 함)이 있는데, 경우에 다라 재판장이 합의부원 중 1인에게 준비절차, 화해의 권고, 법원 밖에서의 증거조사 등 일정한 사항의 처리를 위임할 수 있다.” 제1심의 재판은 원칙상 단독판사가 한다. 왜냐하면 제1심은 신속한 재판이 더 중요시되기 때문이다. 합의부는 신중하고 공정한 재판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단독판사는 신속하고 경제적이며 책임감 있게 재판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단독판사는 주로 신속한 처리를 필요로 하는 사건이나 가벼운 사건을 담당시킨다. 재판권이란 법원이 가진 사법권이다.
원칙적으로 법원은 일체의 법률상 쟁송을 심판하며 재판권은 영역에 따라 일반법원이 아닌 타 재판기관이 가지는 경우가 있다. 특허사건은 특허법원이, 행정사건은 행정법원이, 가사사건은 가정법원이, 헌법재판권은 헌법재판소가 갖는다. 관할권이란 법원이 재판권을 가진다는 전제로 특정 법원이 어떤 사건을 담당 및 심판할 수 있는 권한을 뜻한다. “법원의 계급에 따라서 어느 심급의 사건을 어느 법원이 담당하는지, 제1심 사건 중 어떤 것을 단독판사가 담당하고, 어떤 사건을 합의부가 담당하는지, 또 구체적인 사건을 어느 지역의 법원이 담당할 것인지 등을 정해 놓아야 한다.”
참고 자료
김성태 외(2017). 소송과 강제집행(e-book).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대법원 2001. 11. 13. 선고 99두2017 판결
대법원 1997. 11. 28., 선고, 97도2215,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