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사회와 생활문화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하기
- 최초 등록일
- 2023.01.30
- 최종 저작일
- 2023.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4,75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하기(25점)
2. 교재 제9장, 제10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양반의 일생 서술하기(25점)
본문내용
1. 교재 제13장, 제14장, 제15장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시대 여러 의례 생활을 서술하기(25점)
출산의례
출산 의례는 새로운 생명의 탄생에 따르는 의례이다. 하지만 출생은 산모의 임신과 출산이라는 과정이 있어야만 가능한 것이므로 이러한 절차를 포함하는 의미에서 출산 의례라고 할 수 있다. 즉 출산 의례에는 임신과 출산의 과정에서 행해지는 여러 가지 의례들, 즉 백일과 동 등 출산 후에 이어지는 출산 후 의례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현재 출산 의례에는 기자의례, 태교 의례, 해산 의례, 산후의례가 있다 .
기자 의례는 아들을 낳지 못한 부인이나 집안에서 이를 기원하는 습속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기자 풍속, 기자 신앙이라고도 하고 있다. 이처럼 자식 얻기를 기원하는 주체자의 행위에 따라서 치성 기자, 주술 기자, 주물 기자로 분류할 수 있다. 그 다음 태교 의례는 태중의 태아가 전인적인 교육을 받아서 신체적, 정서적, 지적 그리고 도덕적인 측면에서 정상적인 인간으로 더 나아가 인격자로 성장 및 발달할 수 있도록 부모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을 의미한다. 특히 과거 전통사회에서는 임부에게 정서불안, 긴장 상태가 계속되면 태어난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산모의 정서를 강조했다고 한다. 그 다음 해산의례에는 삼신상 차리기와 태 가르기와 탯줄 처리가 있다. 삼신상 차리기는 아기를 점지해 주는 세 신령에게 감사의 의미로 올리는 상이다.
참고 자료
송찬섭 외(2016).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은주,전정미(2012). 한국 산속(産俗)의 변화 과정 탐색을 통한 유아교육적 의미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13권 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