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영상론 ) 기호의 세 종류, 즉 지표, 도상, 상징을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외연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 그리고 신화와 이데올로기를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ReportRed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미디어영상학과 | 학년 | 2학년 |
---|---|---|---|
과목명 | 사진영상론 | 자료 | 11건 |
공통 |
1. (15점) 기호의 세 종류, 즉 지표, 도상, 상징을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2. (15점) 외연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 그리고 신화와 이데올로기를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1. (15점) 기호의 세 종류, 즉 지표, 도상, 상징을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2. (15점) 외연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 그리고 신화와 이데올로기를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
목차
1. 기호의 세 종류, 즉 지표, 도상, 상징을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1) 지표
2) 도상
3) 상징
2. 외연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 그리고 신화와 이데올로기를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
1) 외연적 의미
2) 함축적 의미
3) 신화와 이데올로기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기호의 세 종류, 즉 지표, 도상, 상징을 설명하고, 그 사례들을 각각 하나씩 제시하시오.우리 생활 전반에 기호는 존재하고 있다. 인간은 아침에 눈을 뜨고 활동을 하고 자려고 눈을 감는 순간까지 많은 기호들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기호란 무엇일까? 기호는 어떤 특정한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든 개체를 의미한다. 기호는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도 하고, 기호로 인해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전달하기도 하는 기능을 한다.
기호를 좁은 의미로 살펴보면 문자나 마크에 특정한 의미가 더해진 것을 의미하고, 넓은 의미로 살펴보면 표현해야 하는 개체 또는 다양한 행위와 결과도 포함한다. 즉, 기호라는 것은 문자나 마크로 된 조형 물체이지만 인간이 거기에 어떠한 특정 의미를 결합시키면 그게 기호가 되는 것이다.
예전의 이미지를 현대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어떤 식으로 해석해야 될지 고민하게 된다. 그 시대의 상징했던 기호들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대의 문화와 시대적 양상을 반영해서 다른 의미 부여를 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1) 지표
지표라는 뜻은 대상과 지시의 수단이 실제적으로 또는 인과관계가 있는 기호를 모두 의미한다. 지표는 대상과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증거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작용하게 된다.
우리가 여행이나 특정 장소에 가서 사진을 찍는 것은 그 순간의 추억을 간작하기 위해서나 내가 이곳에 다녀왔다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사진을 찍게 된다. 예를 들면 제주도의 성산일출봉을 다녀왔다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사진을 찍었다고 가정해보자. 성산일출봉은 제주도의 한 장소이고, 이를 보면 제주도에 다녀왔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것은 지표의 관계를 가지게 된다. 또한, 오랜 시간이 흐른 후에 발굴된 조상들의 유물과 유적들은 그 당시의 시대 상황과 통치 성향을 보여줄 수 있는 지표라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퍼스의 도상, 지표, 상징 개념의 재고에 따른 시각 -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전개방향」, 이용수, 석승민, 17/12/22(사)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학술지-일러스트레이션 포럼
http://www.illustkorea.or.kr/data/file/IL_PDS/1949101453_sB42Jrjn_86964073f7aa93d852a4bd08fc17c53484b83e6d.pdf
TV 예능프로그램 속 한국인의 가족이데올로기<아빠! 어디가>와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중심으로」, 오장근, 14/12/28, 목포대학교
http://www.kavic.or.kr/html/sub3_01.html?pageNm=article&code=244847
퍼스 기호학의 이해」, 제임즈 야쿱 리슈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3/05/25
기업광고를 통해 본 가족신화와 젠더의 기호학적 의미: SK기업광고를 중심으로」, 조희선, 백선기, 양다진, 10/08/30, 성균관대학교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018754423706.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