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 4학년)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생애와 교육사상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수어지교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교육학과 | 학년 | 4학년 |
---|---|---|---|
과목명 | 교육사 | 자료 | 8건 |
공통 |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생애와 교육사상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30점).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생애와 교육사상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30점). |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교육사 4학년)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생애와 교육사상의 특징을 설명하시오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정약용‘의 생애
1) 어린 시절의 교육
2) 실학에 빠지다
3) 정조와의 만남
4) 유배생활
5)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
2. ‘정약용‘의 사상적 배경
3. ‘정약용‘ 교육사상의 특징
1) 개혁적 교육관
2) 실용 교육
3) 아동중심의 교육관
4) 인성중심의 교육관
5) 전인교육
6) 도덕교육
4.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다산 정약용(1762-1836)은 18세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한국 최대의 실학자이자 개혁가이다. 실학자로서 그는 성리학을 비롯하여 의학, 과학, 산수 등 다방면에 통달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정약용은 생애를 통해 위기에 처한 조선 왕조의 현실을 개혁하고자 했으며, 그현실 개혁의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선진유학을 비롯한 여러 사상에 대한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문화, 교육 전 분야를 망라하여 많은 활동을 하였으며 업적을 남겼다. 이러한 점에서 학생들이 정약용이라는 인물 자체를 학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정약용을 통해 역사를 학습 하는 것이 충분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생애와 교육사상의 특징을 설명해 보겠다.
Ⅱ. 본론
1. ‘정약용‘의 생애
1) 어린 시절의 교육
정약용은 1762년 경기도 광주군 마현에서 진주목사의 벼슬을 지낸 정재원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해남 윤씨로 고산 윤선도와 공재 윤도서의 후손이었다. 그가 태어난 마현은 한강의 상류로 풍광이 매우 아름다운 곳이었다. 정약용은 어릴 적부터 영특하기로 소문나 있었다. 1765년에 다산은 네 살 때 아버지로부터 천자문을 배우기 시작하자 바로글자를 알았다고 한다. 여섯 살에는 경기도 연천의 현감으로 부임하는 아버지를 따라가 그곳에서 아버지에게 교육을 제대로 받았다. 진주 목사 벼슬을 끝으로 세상을 떠난 다산의 아버지는 여러 기록으로 볼 때 대단한 목민관이자 학문에도 돈독한 학자였다. 다산이 기록으로 남긴『선인유사』라는 글에 쓴 아버지의 인품과 덕행에 대한 기술로 보거나, 번암 채제공이 지은 정재원의 일대기인 『통훈대부진주목사정공묘갈명』이라는 자료에 의하더라도 전재원은 여러 가지 면에서 아들들을 훌륭하게 키워낼 인품과 능력을 갖춘 인물이었다. 『사암선생연보』에도 이에 관한 기록이 있으니 “다산 공의 덕기(德器)가 관후(寬厚)하고 경학(經學)이 정미(精微)했던 것은 전적으로 가정에서 아버지의 양육을 제대로 받았기 때문이었다.”라고 했다(박석무, 2014, p85).
참고 자료
박석무, 『다산에게 배운다』, 파주: 창비, 2019.조화태, 박종배. 『교육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박석무(2014). 다산 정약용 평전. 민음사.
박승용, ‘다산의 교육사상 연구’,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정약용/편역 다산연구회(2005). 정선 목민심서. 창비.
정창우,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파주: 교육과학사, 2015.
함규진, 『정약용 조선의 르네상스를 꿈꾸다』, 서울: 한길사, 2012.
백민정, 「정약용 철학의 형성과 체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장승구, 「정약용의 윤리교육론」, 『한국철학논집』, 제59집,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교육학과] 2022년 2학기 가족상담및치료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이론) 9페이지
- [정약용] 정약용의 교육사상 16페이지
- 다산 정약용의 오학론 10페이지
- 다산 정약용 ppt 21페이지
- [조직관리와 리더십] 다산 정약용, 정약용 리더십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