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교육및상담 ) 1.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고령층 인구의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으며,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기 위한 영양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ReportRed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생활과학과 | 학년 | 3학년 |
---|---|---|---|
과목명 | 영양교육및상담 | 자료 | 8건 |
공통 |
1. (20점)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고령층 인구의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으며,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기 위한 영양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어르신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진행한다고 가...
1. (20점)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고령층 인구의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으며,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기 위한 영양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어르신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진행한다고 가정할 때 아래에 제시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을 제시하시오.
- 교육대상 어르신을 시설에 따라서 구분(예: 양로시설, 요양시설,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을 선택하여 해당 시설 고려)하여 교육주제 및 내용을 구성 - 교육방법으로 교안(지도안), ppt 형태 교육자료, 카드뉴스 등을 선택하여 교육내용을 구성 2. (10점) 코로나19와 소비트렌드 변화로 인해 음식 배달이 증가됨에 따라 배달음식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도 증가되고 있습니다. 배달음식점 대상으로 위생관리에 대한 안전교육을 리플렛 형태로 진행한다고 할 때 배포할 리플렛을 제작하시오. (일반적인 리플렛 형식에 맞추어 배달음식 시 위생관리가 필요한 부분을 고려한 내용으로 작성할 것) |
목차
1. 노년기를 보내기 위한 영양관리-1) 대한민국 노인 비율의 증가
-2) 독거 노인의 증가와 빈곤 노인층 문제
-3) 노년기의 건강 특징과 유발 가능성이 높은 병
2. 요양시설에서의 영양 교육 방법
-1) 노년기 음식 섭취에 대한 주의점
-2) 영양관리를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 구성
-3) 요양 시설 근로자들에 대한 영양 관리 법률
3. 요양시설에서의 영양 교육 내용
-1) 요양 관리사들의 영양 교육 및 상담
-2) 스스로 건강을 지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3) 독거 노인에 대한 방문 요양 서비스
4. 배달음식점 대상으로 위생관리에 대한 안전교육
-1) 배달음식의 증가
-2) 배달음식의 안정성
5. 배달음식이 안전하기 위한 리플렛
-1) 조리음식점의 조리 전,후 안전관리와 포장단계에서의 안전 관리 방안
-2) 배달 과정에서 위생, 안정관리
-3) 주문 고객의 음식 섭취 후 보관시 주의사항
6.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노년기를 보내기 위한 영양관리-1) 대한민국 노인 비율의 증가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평균수명이 연장되면서 대한민국 고령층 인구와 초고령층 인구의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백세시대 신문에 ᄄᆞ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2021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추이로 보았을 때 16.5%로 5200만명의 대한민국 인구 중 854만명으로 이런 추세라면 4년 뒤인 2025년에는 전체인구 중 20.3%가 노령 인구가 되면서 우리나라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2) 독거 노인의 증가와 빈곤 노인층 문제
이렇게 대한민국에서 노인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가장 큰 문제점은 혼자 사는 독거 노인 가구인데 현재 독거 노인 가구는 166만 1000가구로 16.5%의 노인 비율 중 35.1%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독거 노인 가구는 주변에 챙겨주거나, 요양해줄 사람이 없어, 전반적인 건강관리 및 건강하기 위한 수단을 사용하지 못하는 겨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노인비율 중 독거 노인 가구 비율의 증가로써 해결 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다. 2020년 기준으로 전국에는 6만 7316개의 경로당을 가지고 있으며, 노인 복지관은 398개, 노인요양원은 3800개로 노인 가구들이 혼자 사는 것이 아닌 노인 분들의 안식처와 건강 관리를 도와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노인들의 소득이 2019년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건강 관리에 있어 넉넉한 노인 건강 관리 인프라를 가졌지만 사용하지 못하는게 현실이다.
참고 자료
2021년 고령자통계 발표, 올해 노인인구 853만명, 전체 인구의 16.5%,백세시대,조종도기자, 2021.10, https://www.100ssd.co.kr/news/articleView.html?idxno=81109코로나로 급증한 배달음식, 위생은 ’심각‘,대한급식신문, 박춘재 기자, 21.10.12
https://www.f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392
식약처, 배달 음식 위생관리 매뉴얼 발간…주요 내용은?,medical world news,,이다금, 21.10
http://medicalworldnews.co.kr/m/view.php?idx=1510945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