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사회)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범죄와 일탈에 대한 시민들의 경각심이 강화되고, 예방, 그리고 범죄자에 대한 엄벌을 요구하는
레포트천사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교양과목 | 학년 | 공통 |
---|---|---|---|
과목명 | 인간과사회 | 자료 | 93건 |
공통 |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범죄와 일탈에 대한 시민들의 경각심이 강화되고, 예방, 그리고 범죄자에 대한 엄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쪽에서 범죄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엄벌을 요구하고 있으며, 다른 한쪽에서는 ‘부익...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범죄와 일탈에 대한 시민들의 경각심이 강화되고, 예방, 그리고 범죄자에 대한 엄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쪽에서 범죄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엄벌을 요구하고 있으며, 다른 한쪽에서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범죄를 양산하기에 복지를 강화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또 범죄란 사회 주류의 이념이나 이해 관계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라는 해석도 있습니다.
사회학적 범죄이론에 근거하여 한국사회의 범죄 및 일탈의 양상 변화 또는 범죄와 일탈에 대한 한국 사회의 태도를 비판적으로 설명하고, 범죄 및 일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회가 노력해야 할 것들에 관해 설명하시오. |
소개글
교과목명: 인간과사회<과제명>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범죄와 일탈에 대한 시민들의 경각심이 강화되고, 예방, 그리고 범죄자에 대한 엄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쪽에서 범죄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엄벌을 요구하고 있으며, 다른 한쪽에서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범죄를 양산하기에 복지를 강화함으로써 범죄를 예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또 범죄란 사회 주류의 이념이나 이해 관계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라는 해석도 있습니다.
사회학적 범죄이론에 근거하여 한국사회의 범죄 및 일탈의 양상 변화 또는 범죄와 일탈에 대한 한국 사회의 태도를 비판적으로 설명하고, 범죄 및 일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회가 노력해야 할 것들에 관해 설명하시오.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범죄의 정의
2. 일탈의 상대성
3. 일탈 및 범죄 통제 방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범죄에 대한 소식을 너무나도 잘 접할 수 있게 되었다. SNS와 인터넷의 발달 덕분이다. 이에 따라 시민들은 너무나도 많은 범죄 현황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너무나도 비정상적인 범죄 행태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가령 2016년부터 대한민국 사회에서 화두가 된 페미니즘의 발달은 소위 ‘여성혐오’ 범죄에 대해 시민들이 관심을 가지게 하였는데, 우리 사회에 생각보다 너무나도 많은 데이트 폭력이나 여성 범죄, 성범죄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분노하게 만들었으며, 이러한 범죄 가해자들에 대해 강력 처벌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많아지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고 생긴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그러한 글들이 많다. 가령 얼마 전에는 연애 사실을 알렸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여자친구를 폭행하여 죽음에 이르게 만든 30대 남자에 대해 엄벌을 내려야 한다는 청원 글에 무려 41만 명이 청원하였다. 또 다른 예로는 얼마 전 대한민국을 충격에 빠뜨린 ‘n번방’ 사건의 가해자 문형욱의 징역이 34년으로 선고받자, 이에 여성단체 및 국민들은 너무 가볍다며 더 강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렇듯 정보 공유가 실시간으로 가능해지자, 공감도 보다 쉬워지고, 그러다 보니 시민들이 분노하기가 더 쉬워지는 환경이 되었다고 보인다.그러나 이러한 엄벌만이 범죄에 대한 유일한 해결 방법인가? 근원적인 해결 방법은 없는가? 사실 성인의 경우에는 자신의 행동에 자신이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에 범죄를 저질렀을 시 엄벌을 받는 것이 상식이다.
참고 자료
여성신문(진혜민 기자), “"'데이트폭력 살인’ 남성 엄벌하라" 청원 41만명 동의”, (2021. 9. 14.)연합뉴스TV(정지훈 기자), “'n번방 갓갓' 문형욱 항소심도 징역 34년…"더 엄벌해야"”, (2021. 8. 19.)
전북일보(김창언 교사), “도를 넘는 소년범죄, 예방VS처벌의 논란”, (2021. 9. 7.)
고영복, 『사회학사전』, 사회문화연구소,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