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론
- 최초 등록일
- 2022.05.09
- 최종 저작일
- 2022.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평생교육론
[과제명]
마을과 학교가 긴밀하게 관계를 맺고 마을교육공동체를 형성하려는 시도가 새롭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자기가 거주하는 지역이나 인근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 마을교육공동체의 사례를 하나 선정하여 조사‧분석하시오.
목차
1, 마을학교공동체의 이해
2, 마을에서 학교의 중요성
3, 마을과 학교의 관계 맺음 양태
4, 마을과 학교가 함께 형성해 나가는 마을교육공동체 사례
5, 마을교육공동체 형성에 대해 마을주민과 학교구성원이 부여하는 의미
6, 조사자가 분석하면서 갖게 된 의미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마을학교공동체의 이해
우리나라는 학교 중심의 교육 정책과 제도의 한계에 직면하면서 더 이상 교육을 학교에만 맡겨서는 교육혁신이 어렵다는 인식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인식과 함께 교육혁신을 위한 대안으로 교육공동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흐름을 반영하듯 경기도와 서울시 교육청에서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혁신교육지구와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등을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적 관계로 이루어지는 교육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지자체에서도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마을공동체를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마을교육공동체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교육공동체를 나타내고 있지만, 명확하게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정의나 실천적 프레임은 없다. 또한 학술적으로도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는 않다.
하지만 사업으로 명명되고 있는 경기도 교육청의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서울시 교육청의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 등을 통해 마을교육공동체의 모습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요약하면 마을교육공동체란 “학교와 지역사회 전체가 함께 학생교육에 참여하고 학생들이 공동체적 삶의 체험을 통해 공동체의 가치를 체득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배움과 삶이 어우러진 새로운 형태의 사회공동체”를 의미한다.(전라남도교육청, 2018). 또한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학생교육에 함께하고 학생들이 삶의 체험을 통해 공동체 가치를 체득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관심은 2010년 초기 일부 지방교육자치기관들이 교육개혁 및 학교혁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비롯되었다. 즉 마을교육공동체 담론은 학부모 지역사회의 참여를 바탕으로 교육시스템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그들의 교육적 역할을 증대시켜 공교육 제도가 올바로 설 수 있는 계기를 모색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생성된 논의로 보인다.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은 “학교공동체”, “교육공동체”, “배움 공동체”, “학교와 지역 파트너십”, “교육 거버넌스” 등 다양한 이름으로 교육계에서 논의 되어 왔다.
참고 자료
윤여각 외(2016). 평생교육의 눈으로 학교 읽기. 서울: 에피스테메.
윤여각 외(2021). 평생교육론(1개정판).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윤여각(2021). 평생교육론의 시선. 파주: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