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노인학대가족에 대해 본인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간호과정 ICNP분류에 의해 가족간호현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의 노인학대가족에 대해 작성하시오(20점).
1) 우리나라의 실제 발생현황에 대해 기술하시오(10점).
2) 노인학대가족에 대한 사회정책과 간호학적 중재방안에 관해 설명하시오(10점).
2. 본인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간호과정을 작성하시오(50점).
1) 프리드만의 가족사정도구를 적용하여 가족구조, 가족기능과 가족발달단계에 대해 사정하시오(10점).
2) 사정내용에 따른 가계도, 외부체계도, 가족연대기, 사회지지체계도, 가족아프가사정도구, 최근 경험표를 작성하시오(10점).
3) ICNP분류에 의해 가족간호현상(2개이상)과 관련 특성을 작성하시오(10점).
4) 단기, 중기목표와 진단에 따른 중재안, 평가계획안을 작성해 보시오(10점).
5) 가족구조,기능,발달이론 적용에 따른 본인의 결론을 제시하시오(10점).
본문내용
1) 우리나라의 실제 발생현황에 대해 기술하시오(10점).
보건복지부 노인 정책과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에 의하면 최신 2020년 노인 학대 현황은 6월 발표예정으로 현재 발표된 최신 실제현황은 2019년 발표된 우리나라 실제 발생 현황이다.
2019년 보건복지부 노인 학대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노인복지법 제39조의5제1항 제4호에 따라 취약노인지원시스템에 기록된 노인 학대 사례 및 교육・홍보 활동 자료를 보면 2019년의 발생률은 전체 16,071건으로 해마다 증가 하고 있는 추세이다.
연도별 학대신고접수 건수 및 비율
(단위: 건, %)
노인학대 사례로써는 응급, 비응급, 잠재적 사례가 있다. 응급 사례는 노인학대가 현재 발생하고 있거나, 학대로 인해 즉각적인 의료조치가 필요한 경우에 해당되며, 학대행위자로부터 즉시 격리가 요구, 노인의 생명 혹은 안전이 매우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등을 말한다.
연도별 사례판정 현황
(단위: 건, %)
연도별 신고자의 경우, 2012년 이후 신고의무자에 의한 신고율은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2019년에는 16.7%로 2018년(14.8%)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이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소속 및 요양직 직원에 의한 신고건수가 증가한 결과로 보여 진다. 연도별 학대발생장소를 살펴보면 2019년 기준 가정 내 학대는 84.9%(4,450건)으로 2018년 보다 다소 감소하였지만 상당히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생활시설은 9.3%(486건)로 2015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연도별 학대피해노인 가구형태
(단위: 건, %)
2) 노인학대가족에 대한 사회정책과 간호학적 중재방안에 관해 설명하시오(10점).
① 노인학대가족에 대한 사회정책
첫 번째로, 노인 학대 신고 의무자를 확대하고 교육한다.
노인복지법 제31조의6제5항에 의거하여 “노인 학대예방 및 신고의무에 관한 교육”을 노인 학대 신고의무자를 대상으로 노인 학대 사례를 조기에 발견하여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이 있다.
노인복지법에 근거하여 신고의무자가 확대되고 있고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누구든지 노인 학대를 알게 된 때에는 노인보호전문기관 또는 수사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학대예방 및 신고의무에 관한교육
이현민, 이혜영, 김재인(2019) “노인학대신고, 참견이아니라 도움입니다.”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김영임, 윤순녕, 김숙영(2017), “가족건강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원.
김수진, 김미혜, 전혜연(2019) “노인에 대한 신체적 · 심리적 · 사회적 이미지가 노인학대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경제지위의 조절효과”『보건사회연구』 39-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 222-249.
고정미. (2010).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의향: 간호사와 노인의 비교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4(2), pp.270-284.
권금주. (2015). 노인학대 신고의무제도의 발전방안 연구. 사회복지실천과 연구, 12(1), pp.3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