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생산 및 소비현황을 조사하라. (15 점)
2. 국내 쌀 재배관리 중 병해충방제 현황을 조사하라. (15점)
소개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생산 및 소비현황을 조사하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생산 및 소비현황을 조사하라.
2. 국내 쌀 재배관리 중 병해충방제 현황을 조사하라.
본문내용
벼 품종별로 조금이 증가, 감소 추세를 약간씩 다르게 보이지만 2006년에서 2010년 사이의 전반적인 재배 경향을 보면 2010년까지 전체 총합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을 알 수 있다. 또한 특수 품종 벼가 더 선호되고 있는 것도 눈에 띄는데 동진1호와 남평의 수요가 급격히 줄어든 것과는 반대로, 호품과 운광은 재배면적 비중치가 높은 것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현상으로 보았을 때 특정 품종이 더 많은 벼 생산을 한다거나 더 많은 판매가 되고 있을 것이라는 추정을 해볼 수 가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같은 연구보고서를 토대로 국내 벼 소비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품목별 월중 지출량은 비농가의 경우, 용도별 음식용 소비량(주·부식, 장류, 떡·과자, 기타 음식)과 기타 지출량으로 기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기타 음식은 예컨대 엿, 술, 감주, 미숫가루 등을 소비한 양으로 정의된다.
농가의 경우 용도별 음식용 소비량 이외에도 도정량, 판매량, 증여량, 임차료, 기타 지출량 등으로 세분화되어 추가 조사된다.
(33)
이 연구 보고서에서는 용도별 음식 소비량을 조사하고 있는데 그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중 략 >
(2) 국외의 경우
세계의 10대 벼 생산지로는 인도(43.20 단위: 백만 헥타르), 중국 (30.35), 인도네시아(12.16), 방글라데시(12.00), 태국(9.65), 베트남(7.66), 미얀마(6.80), 필리핀(4.50), 캄보디아(2.90), 파키스탄(2.85) 순으로 경지면적순으로 알려져 있다(월드아틀라스 자료). 이들 나라들은 세계에서 쌀 소비량 역시도 세계 톱 수준이며 벼 생산의 90%를 소비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년간 쌀 소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하라 이남 지방 사람들은 특별한 날에만 쌀을 소비하였는데 최근에는 카사바, 고구마, 얌과 같은 토속 곡식에 대한 대안으로 매일 주식으로 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변화는 니제르, 탄자니아, 나이제리아 등지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참고자료
· https://www.worldatlas.com/articles/the-countries-producing-the-most-rice-in-the-world.html
· Sumithra Muthayya, An overview of global rice production, supply, trade, and concumption,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 2007
· 박동규 외, 「쌀 생산 및 소비량 통계 개선방안」, 한국 농촌경제연구원, 제6-0007호, 2011
· 농촌 진흥청, 『벼 병해충 방제 총람』, 수원: 상록사, 1997
· 심형권, 「벼 곰팡이병 발생 현황과 방제 기술」, 농촌진흥청, 201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