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시설과사회적경제 ) 1.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 사회적 경제 조직(협동조합,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등) 기관을 한 곳 선정하여 다음을 작성하시오 2. 사회적 경제 조직의 미래와 전망 등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작성하시오.
ReportRed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사회복지학과 | 학년 | 4학년 |
---|---|---|---|
과목명 | 사회복지시설과사회적경제 | 자료 | 28건 |
공통 |
1.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 사회적 경제 조직(협동조합,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등) 기관을 한 곳 선정하여 다음을 작성하시오(1~2p)
- 기관 소개(기관명, 소재지, 규모, 주요사업 등), 기관 선택 이유, 사회적 경제 조직으로...
1.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 사회적 경제 조직(협동조합,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등) 기관을 한 곳 선정하여 다음을 작성하시오(1~2p)
- 기관 소개(기관명, 소재지, 규모, 주요사업 등), 기관 선택 이유, 사회적 경제 조직으로서 기관의 실천과 특징 2. 사회적 경제 조직의 미래와 전망 등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작성하시오.(1~2p) ※ 사회적경제 조직 유형은 ‘사회복지시설과 사회적 경제’ 4강 강의 참고 ※ 거주지역 범위는 기초자치단체(시‧군‧구)를 기준으로 하되, 적당한 곳이 없을 경우 광역자치단체(특별시‧광역시‧도)까지 가능 |
목차
1. 서론2. 본론
1)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 사회적 경제 조직(협동조합,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등) 기관을 한 곳 선정하여 다음을 작성하시오
2) 사회적 경제 조직의 미래와 전망 등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작성하시오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사회적경제란 시장주의원리와 신자유주의의 한계점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소득양극화 및 사회, 경제적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공동체 원리에 입각하여 따뜻한 사회와 나눔경제, 공유경제로써 나아가기 위한 새로운 경제시스템이다. 이는 국가의 영역인 재분배와 시장의 영역인 이윤추구의 영역이 아니라 제3의 영역으로 광범위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호 간에 연대 및 협력, 호혜의 부조와 같이 자발적으로 참여를 기반으로 사회서비스를 확충하고 복지의 증진 및 지역공동체 강화, 일자리 창출과 같은 모든 경제적 활동을 뜻하는 것이다. 실제로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 사회적 경제조기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사회적 경제 조직의 미래 및 전망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고자 한다.
2. 본론
1)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 사회적 경제 조직(협동조합,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등) 기관을 한 곳 선정하여 다음을 작성하시오.
기업에서는 고용 없는 성장이나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인해 일자리 창출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사회적기업에 대한 관심은 고조되고, 사회적기업 육성을 통해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기회와 창출된 수익이 복지에 활용된다는 본래 취지에 충실하면서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 혹은 지역사회에 대한 공헌으로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과 같이 사회적 목적의 추구와 재화나 서비스 생산, 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으로 고용노동부장관의 인증을 받은 기업이다. 여기서 설명하고자 하는 사회적기업은 ㈔부산돌봄사회서비스센터다.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천로에 위치
참고 자료
인천광역시 계양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https://www.gyeyang.go.kr/open_content/se/sub/social.jsp
연제구청, https://www.yeonje.go.kr/portal/contents.do?mId=0610010100
이도희(Lee Doh-Hee). "사회적기업 사례연구." 사회적기업연구 9.1 (2016): 157-183.
http://www.riss.kr/link?id=A102401540
이유리. "사회적경제조직의 현황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5. 전라남도
http://www.riss.kr/link?id=T13855339
박영화(Piao YingHua),and 네모토 마사쯔구(Nemoto Masatsugu). "사회적 경제조직에 대한 제3자 평가의 발전방안."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7.3 (2017): 55-78.
http://www.riss.kr/link?id=A103625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