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stomach)는 식도를 지나온 음식물을 저장하는 기관이다. 위의 해부생리적 특성을 상세히 기술하시오.(10점)
2. 위염은 소화기계에서 흔히 발생하는 건강문제이다. 위염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방안을 기술하고 이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시오.(15점)
3. 뇌졸중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5가지 쓰고,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0점)
4. 비만의 유형 2가지를 제시하고, 각각의 특성을 상세히 비교하여 설명하시오.(5점)
5. 마리 야호다가 제시한 정신건강의 평가 기준 여섯 가지와 이에 따른 이상적인 정신건강에 대해 설명하시오.(6점)
6. 에릭 번(E. Berne)에 따르면 인간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특징적인 사고, 감정, 행동을 나타내는 세가지 자아상태가 상호 교류하게 된다. 이성적이고 현실지향적이며, 신중하고 분석적인 특성을 지닌 자아 상태는 무엇인가? (1점)
7. 우울증의 신체적 건강과 안전을 위한 관리를 세 가지 제시하시오.(3점)
본문내용
1. 위(stomach)는 식도를 지나온 음식물을 저장하는 기관이다. 위의 해부생리적 특성을 상세히 기술하시오(10점).
위는 식도와 십이지장 사이에 위치하며, 식도를 지나 온 음식물을 일시적으로 저장․소화하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이다. 위의 용량은 금식상태에서는 대략 50ml정도, 음식 섭취 후에는 1.5~2.5L 이상으로 커지는 신축성을 보인다.
(1) 위의 해부학적 구조
위는 크게 분문부, 위저부, 위체부, 유문부로 나눌 수 있다. 위의 안쪽은 위액을 분비하는 점막으로 덮여 있다. ① 분문부는 식도와 연결되는 위 윗부분의 좁은 입구 부위이다. ② 위저부는 분문부에서 윗쪽으로 곡선을 이루며 볼록하게 부풀어 있는 부분이다. 위저부에서 커다란 주머니 모양의 위체부으로 이행한다. ③ 위체부는 위의 가운데 가장 넓은 부분으로 위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위의 중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어서 출구부분인 유문부를 향해서 가늘어진다. ④ 유문부는 깔때기 모양으로 좁아지면서 십이지장과 연결된 부분이다. 여기에는 유문괄약근이 있는데, 연동운동으로 유문 부근까지 운반된 위의 내용물이 유문 괄약근을 자극하면 유문이 열린다. 그리고 위의 내용물을 십이지장까지 보낸다.
(2) 위의 기능 특성
위는 연동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아래로, 즉 본문부에서부터 십이지장 부위까지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연동과정에서 음식물은 위 속에서 죽처럼 걸쭉한 형태로 되며, 위벽의 위점막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을 포함한 위액과 고루 섞여 소화된다. 이러한 과정을 걸쳐 소화된 위의 내용물이 위에 체류하는 시간은 음식물의 종류․성분이나 개인의 정서상태에 따라 죄우되나, 식후 10분에서 2~3시간에 걸쳐 거의 대부분이 십이지장으로 이동하고 일반적으로 3~4시간이면 내용물 전체가 소장으로 이동한다. 위는 음식물을 소화시켜 십이지장으로 보내지만 흡수는 거의 하지 않는다. 위의 주요 기능은 음식물의 소화와 운송이다. 즉, 고루 섞고 잘게 부수는데 도움을 주고 소장으로 소화물을 운반하는 것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