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해주, 최운실, 권두승, 장원섭 공저,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KNOU PRESS, 2017.
· 기영화, 「대학 평생교육원 프로그램 개발이론과 실습」, 「2005년 대학교육협의회 대학평 생교육운영자 과정」, 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과 교수, 2005, pp. 1~58
· 황남희, 「노년기 평생교육 현황과 정책과제」, 「ISSN 2092-7117, 제 233호 (2014-12)」, 한국
· 보건사회연구원, 2014.3.28.
· 김민수, 강우진, 「장애인 평생교육의 실태와 발전방안」, 「GGWF REPORT 제2호, DC00700028」, 경기복지재단, 2010.
· 박인종, 이태림, 이혜영, 변종임, 이삼경, 「베이비붐 세대 은퇴 대비 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 「CR 2011-6」, 평생교육진흥원, 2011.8.
· 채재은, 허준, 「평생학습시대의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비교교육연구 제22권 제1호」, 가천
· 대학교, 영남대학교, 2012, Vol. 22, No. 1, pp.1-23
· 이윤조, 김정은, 이경화, 김진화, 「경기도 평생교육 프로그램 6대 영역 분석 연구」, 「연구보고
· 서, GLR 2016-06」,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동의대학교, 2016
·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6대 영역, 현황과 과제”, 김진화, 수원시평생학습관, 2017.11.20. http://www.wasuwon.net/122618, <2020.10.12. 검색>
· 보완적 학력인정제도의 쟁점과 개선 방안」, 「연구자료 CRM 2017-3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6.30.
· 박근영,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학습 참여율」, KESS 교육통계서비 스, 2018.12.28. https://kess.kedi.re.kr/post/6675347?itemCode=03&menuId=m_02_03_03
· 평생교육시대에 문화예술교육이란?”, 김자영 인천시 여성문화회관 관장, <인천in.com>, 2011.7.4. http://www.incheonin.com/news/articleView.html?idxno=8374, <2020.10.12.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