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방송통신대학교-지역사회복지론-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제도주의 지역사회복지 간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2) 두 관점 중 자신이 지지하는 입장을 그 이유와 함께 서술하시오 3) 코로나 19 시대에 자신의 지역사회 시군구의 문제 중 한 가지 사례를 선택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2)
라이칸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생활과학과, 청소년교육과, 사회복지학과 | 학년 | 3학년 |
---|---|---|---|
과목명 | 지역사회복지론 | 자료 | 59건 |
공통 |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제도주의 지역사회복지 간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2) 두 관점 중 자신이 지지하는 입장을 그 이유와 함께 서술하시오. 3) 코로나 19 시대에 자신의 지역사회(시군...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제도주의 지역사회복지 간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2) 두 관점 중 자신이 지지하는 입장을 그 이유와 함께 서술하시오. 3) 코로나 19 시대에 자신의 지역사회(시군구)의 문제 중 한 가지 사례를 선택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
목차
Ⅰ. 서론Ⅱ. 본론
ⅰ)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ⅱ) 잔여주의 지역사회복지와 제도주의 지역사회복지
ⅲ) 제도주의 복지제도
Ⅲ. 결론 - 코로나19 시대 지역사회 문제와 해결 방안
본문내용
Ⅰ. 서론한국의 경제성장과 민주화 이후 특징적인 사회 변동 중 하나는 복지제도의 확대이다. 빈곤율, 영유아 사망률, 질병발생률, 자살률, 노동자 사망률과 같은 국가의 주요 지표들은 그 사회의 복지수준과 관련있다. 그러나 사회복지를 어떤 수준으로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와 관련된 사회복지제도는 형성되어온 사회역사적 배경이나 조건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데, 복지수혜자의 범위에 따라 보편적 복지와 선택적 복지로 나눠볼 수 있다. 사회복지제도의 유형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잔여적’과 ‘제도적’이라는 용어는 1958년 윌렌스키(H. Wilensky)와 르보(C. Lebeaux)가 처음 사용했으며, 이후 티트머스(R. Titmuss)와 미시라(R. Mishra)rk 체계화하고 보완했다. 이 글은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사회복지 제도에 대해 서술하고 코로나19 시대 지역사회 문제와 해결 방안에 대해 제시한다.
Ⅱ. 본론
ⅰ) 잔여주의와 제도주의
잔여주의(residualism)는 개인의 욕구가 일차적으로 사적인 시장이나 가족을 통해 충족되어야 한다고 보며, 다만 이것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때, 잠정적·일시적으로 사회복지제도가 그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는 구호적 관점이다. ‘잔여적’이라는 것은 노동시장에서 소득을 벌어들이지 못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이런점에서 선택적 복지라고 할 수 있다. 잔여주의를 지향하는 나라나 정권은 자유주의 이념에 따라 국가의 개입과 역할을 최소 수준으로 유지하려고 하며, 사회복지의 대상도 노동 능력을 상실하여 노동시장에서 탈락한 사람들로 제한한다. 국가가 제공하는 공공부조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회복지서비스는 자산 조사의 과정을 거쳐 공급된다. 국가의 역할이 최소화되고 가족, 공동체 민간 자원봉사, 시장 등 민간 부문이 개인복지의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제도주의(institutionalism)는 현대사회에서 각 개인의 욕구충족과 자기성취를 돕기 위해서는 시장 외부에서 공공기관이 사회제도를 통해 보편적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는 관점이다.
참고 자료
관계부처합동. (2020). 제2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2021~2023) (안).김윤태, 서재욱 & 박연진. (2018). 공적연금의 빈곤 완화 효과: OECD 34 개 회원국의 비교연구. 한국사회정책, 25(4), 301-321.
김태영. (2016). 사회적경제 영역의 광역단위 중간지원조직 역할 수행 분석: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적용. 정부학연구, 22(2), 81-125.
박영선 & 정병순. (2020). 중간지원조직 공익활동 역량 강화방안.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1-131.
비판사회학회. (2020). 사회학. 서울:한울아카데미.
여유진 & 김성아. (2020). 코로나 19 에 대응한 긴급지원 대책의 주요 내용과 과제. 보건· 복지 Issue & Focus, 382, 1-12.
유해미, 박은정, 엄지원 & 정은희. (2019). 사회적 격차 해소를 위한 빈곤가정 영유아 양육 지원 방안 연구 (Ⅰ): 빈곤가정 영유아 양육실태 분석.
유해숙. (2012). 지역사회복지 계획수립의 방향과 전략: 인천시 A 구를 중심으로. 민족연구, (51), 204-223.
정홍원, 이은솔, 김윤태, 신동면, 정혜주 & 이태수. (2020). 코로나 이후 시대 사회보장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중소벤처기업부. (2021.07.). 2021년 7월 소상공인시장 경기동향조사.
충남연구원. (2020). 포스트코로나와 농촌마을재생. 충남연구원 충남마을만들기지원센터.
한국경제연구원. (2021.02.17.).“한국, 고령화속도 가장 빠른데 노인빈곤율은 이미 OECD 1위”. 한국경제연구원 보도자료.
Mishra, R. (1981). Society and social policy: theories and practice of welfar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복지국가의 사상과 이론. 남찬섭 옮김. 서울: 한울아카데미.
OECD, (2020.12). Social Protection and Well-being. http://stats.oecd.org,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