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경영학3)의료분쟁과 구제제도에 대하여 정리하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11.08
- 최종 저작일
- 2021.1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소개글
병원경영학3)의료분쟁과 구제제도에 대하여 정리하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시오.
목차
1.서론
2.의료행위의 정의
3.의료분쟁과 구제제도
4.의료분쟁의 원인과 현황 및 문제점
5.결론
6.참고자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는 작은 질병 치료에서부터 큰 수술이 필요한 경우까지 여러 가지 이유로 환자가 되어 병원을 찾게 된다.
병원을 찾은 환자는 의사의 전문지식과 기 술을 믿고 더 건강해질 것을 기대하고 각종 검사와 치료, 수술, 투약까지 하게 되는데 불행하게도 그 과정에서 의사의 잘못으로 환자의 신체에 손상을 입거나 심하게는 환자가 사망에 이르는 경우까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유명대학병원에서 제왕절개 수술 중에 신생아의 손가락을 절단했다든 지, 의료과실로 환자가 사망하자 이를 숨기기 위해 의사가 진료기록까지 위조했다든지 하는 내용의 기사를 접할 수 있는 것처럼 의료사고는 누구에게나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신체나 생명에 손상을 입은 환자의 입장과 전문직업인으로서 앞으로의 진로와 생계가 달린 의사의 입장이 서로 대립할 수 밖에 없으므로 의료사고는 분쟁으로 격화되는 경우가 많다.
2. 의료행위의 정의
의료행위의 정의와 관련하여, 의료법에서는 의료인이 하는 의료·조산·간호 등 의료기술의 시행을 ‘의료행위’라고 규정하였고(법 제12조 제1항), 보건복지부장 관의 면허를 받은 의사·치과의사·한의사·조산사 및 간호사를 ‘의료인’이라고 정 하였는데(법 제2조 제1항), 이에 대하여는 의료행위를 적극적으로 정의한 것이 아니라 의료인의 행위 유형을 주체별로 고찰한데 불과하다는 비판이 있었다. 그 후 2011. 4. 7. 제정된 의료분쟁조정법에서는 보건의료인이 환자에 대하 여 실시하는 진단·검사·치료·의약품의 처방 및 조제 등의 행위를 ‘의료행위등’ 이라고 하여 의료법보다 구체적으로 의료행위를 정의하였고, ‘보건의료인’이란 의료법상 의료인과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응급구조사 및 약사·한약사(법 제2조 제3호) 뿐만 아니라 의료법 제27조 제1항 단서 또는 약사법 제23조 제1항 단서에 따라 그 행위가 허용되는 자를 포함한다고 하였으며(법 제2조제1호),
참고 자료
김경례. (2020). 제소 전 의료분쟁 해결에 관한 연구-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을
중심으로. 의료법학, 13(1), 71-89.
김병일. (2015). ADR에 의한 의료분쟁 해결의 현황과 과제. 법학연구, 16(1),
239-260.
김상찬, 양영화. (2018). 우리나라 ADR 제도의 활성화 방안. 법학연구, 45, 247-267.
김일룡. (2019). 의료분쟁조정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을 중
심으로. 의생명과 법, 14, 31-61.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2020년도 의료분쟁 조정·중재 통계연보, p.32-75.
권선화. (2015). 의료분쟁에서의 조정성립 관련요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덕은. (2018). 의료분쟁의 합리적 해결방안. 민사법연구, 16(단일호), 139-161.
김민중. (2019). 의료분쟁조정법의 기본이념과 현실. 의료법학, 14(1), 4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