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 교육사회학 기말시험(갈등이론/교육사회학적 성찰에 따른 학생 행복을 위한 방안/코로나19에 따른 평생교육 혁신 방안)
- 최초 등록일
- 2021.10.14
- 최종 저작일
- 2020.10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방송대 교육사회학 기말시험(갈등이론/교육사회학적 성찰에 따른 학생 행복을 위한 방안/코로나19에 따른 평생교육 혁신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갈등이론을 간단히 설명하고, 갈등이론을 편 학자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사람의 이름을 쓰고 그 이유를 쓰시오
2. II 부 한국교육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성찰(6~11장)을 읽고 한국의 학생이 학교에서 행복해 질 수 있는 방안을 한 가지 제시하시오.
3. 코로나 19에 따른 사회변화의 양상을 감안하여 평생교육 상황에서 성인들 간 불평등을 줄일 수 있는 교육적 혁신 방안을 한 가지 제시하시오.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갈등이론을 간단히 설명하고, 갈등이론을 편 학자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사람의 이름을 쓰고 그 이유를 쓰시오
갈등이론이란, 사회를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가진 개인과 집단의 집합체로 보고, 이들 간에 존재하는 갈등 현상에 주목하여 사회 현상을 설명하려는 사회학 이론이다. 이들은 갈등이란 제한된 자원과 권력의 불평등한 분배로 인해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갈등을 사회를 변화시키는 원동력이라고 본다. 교육에 대한 갈등이론적 시각은 학교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특히 1970년대 중반부터 경제재생산이론, 문화재생산이론, 저항이론 등이 등장하면서 교육에 대한 본격적인 갈등이론적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프랑스 사회학자 루이 알튀세르는 학교가 자본주의 체제 유지를 위한 국가기구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보울스와 긴티스는 ‘경제재생산이론’을 제시하였다. 유럽에서는 경제가 아닌 문화적 자율성에 의해 학교 체제가 만들어진다는 ‘문화재생산이론’이 등장하였고, 프랑스 사회학자 부르디외는 상층문화를 강조하는 학교교육이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참고 자료
성기선·유성상·이해주 (2014). 교육사회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병호·최은수 (2009). 한국의 평생교육 정책과정 추이(推移) 분석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발전 평생교육정책 사례들을 중심으로. 평생교육 · HRD연구. 5권 3호. 221-246.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19). OECD 교육지표 2019. 세종: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정광식 (2007). 한국사회 학벌의 형성과정과 교육적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 발표』. https://www.msit.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_policycom2&artId=2650307. (2020.11.01.)
네이버지식백과 『갈등이론 [葛藤理論, conflict theory]』.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09736&cid=42126&categoryId=42126. (2020.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