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근대한일관계사4A) 18세기 1799년까지 한일관계사사적지관련2곳답사-성 봉수대 등 삼별초 항몽유적지-하여 관련사료 자신의 감상등 작성하시오0k
*용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일본학과 | 학년 | 4학년 |
---|---|---|---|
과목명 | 전근대한일관계사 | 자료 | 2건 |
A형 |
18세기(1799년)까지의 한일관계사 사적지 관련 2곳 이상을 답사하여 해당 사적지에 대한 설명 및 관계된 사건, 관련 사료, 그리고 자신의 감상 등을 작성하시오. 반드시, 사적지 또는 유물을 배경으로 본인의 얼굴이 들어가도록 촬영...
18세기(1799년)까지의 한일관계사 사적지 관련 2곳 이상을 답사하여 해당 사적지에 대한 설명 및 관계된 사건, 관련 사료, 그리고 자신의 감상 등을 작성하시오. 반드시, 사적지 또는 유물을 배경으로 본인의 얼굴이 들어가도록 촬영한 사진 첨부할 것.
* 답사 추천 도서로 김영식 저 『일본근세성곽과 왜성의 이해』. 어문학사. 2021년 8월 출간 예정.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에서 고려사 또는 고려사절요에 들어가서 색인 창에 ‘왜구’라는 단어와 자기 고장의 지명을 넣어보면 관련 사료가 나오니 그것을 확인해보고 현장 답사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
소개글
전근대한일관계사4A) 18세기 1799년까지 한일관계사사적지관련2곳답사-성 봉수대 등 삼별초 항몽유적지-하여 관련사료 자신의 감상등 작성하시오0k일본 전근대한일관계사4A
18세기(1799년)까지의 한일관계사 사적지 관련 2곳 이상을 답사
-7제주: 왜구 침입에 대비해 해안가에 축성한 성 봉수대 등 삼별초 항몽유적지-
제 논문과 레포트 자료 제출시
참고용으로 활용 잘 하십시요.
항상 생각하고 연구하는 자세로
학문에 몰입하면서,
자신만의 소신을 가지고,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글을 적으려고
노력 하시면, 좋은글이 나올 것으로
생각합니다.
열심히 자료를 수집하고 글을 작성하다 보면
뛰어난 논문과 레포트가 나옵니다.
코로나시대 학문의 비약적인 발전과
앞날에 행복한 일이 가득하길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
목차
Ⅰ. 서 론Ⅱ. 본 론
1. 제주도 성 봉수대에 대한 감상
1) 제주도의 성 봉수대의 분포현황
(1) 당산봉수
(2) 만조봉수
(3) 도내봉수
(4) 고내봉수
(5) 수산봉수
(6) 도원봉수
2) 관계된 사건 관련 사료
2. 삼별초 항몽유적지
1) 항몽유적지 조사
2) 관계된 사건 관련 사료
3. 자신의 감상문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한민족은 외세의 930여번의 침략을 당한 가운데 외세의 공격이 진행되면 온 국민이 힘을 합쳐 그들과 결사항전하였다. 그들의 침략에 대항하여 항파두성을 쌓기도 하였으며 해안가와 고지대 산을 중심으로 봉수대를 설치하기도 하였다.
봉(烽)은 밤에 봉화(烽火)를 올려 연락하는 것을 말하고 수(燧)는 낮에 연기를 올려 의사를 전달하는 것을 뜻한다. 봉수대(烽燧臺)는 지형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적의 동태를 조기에 알려주는 역할을 했다. 수원 화성의 봉수대는 원형이 잘 남아있는데 전체를 벽돌로 축조했다. 마치 돈대처럼 봉수대를 만들었다고 하여 수원 화성에서는 이를 봉돈(烽墩)이라고 부른다. 봉수대에는 봉화를 올릴 수 있는 다섯 개의 원추형 시설을 했는데 이를 화두(火竇)라고 한다. 항파두리 항몽유적지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 1126-1에 위치한 문화유적으로 삼별초 최후의 항쟁지이다.
항파두리성은 강화도에서 진도로, 다시 제주도로 건너와 몽고에 저항한 삼별초가 머물던 군사기지이다. 1231년 몽고가 쳐들어오자 고려 왕조는 해도입보의 전략에 따라 강화도로 천도를 하게 된다. 이후 40년 동안 원나라에 저항했으나 결국은 강화조약을 맺고 개경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삼별초는 이에 반대하고 계속 싸울 것을 주장하며 진도로 기지를 옮긴다. 몽고군에 대항하여 김통정장군을 포함한 제주도민들의 결사항전이 진행되었으나 결국은 역부적으로 전원 사망하게 되었다. 그러나 끝까지 나라를 지키고자하는 호국충정(護國忠情)의 일환으로 항몽유적지를 건립하게 되었다. 이 장에서는 전근대한일관계사4A) 18세기(1799년)까지의 한일관계사 사적지 관련 2곳 이상을 답사하여 해당 사적지에 대한 설명 및 관계된 사건, 관련 사료, 그리고 자신의 감상 등을 작성하기로 하자.
Ⅱ. 본 론
1. 제주도 성 봉수대에 대한 감상
조선시대 방어시설 중 봉수는 25곳이 있었다. 지난해 제주시와 제주문화역사연구원이 조사한 봉수 가운데 제주성을 기준으로 서쪽에는 당산→만조→도내→고내→수산→도원봉수를 거쳐 최종에는 사라봉수로 정보가 전달됐다.
참고 자료
김영식 저 『일본근세성곽과 왜성의 이해』. 어문학사. 2021년 8월 출간 예정.김일우, 2000, 《고려시대 탐라사 연구》, 신서원.
심정보, 1995, 《한국 읍성의 연구》, 학연문화사.
김용혁, 2000,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일지사.
김광중, 2004, 「제주지방- 과거와 현재」, 《한국지리지-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고창석, 1999, 「「자료소개」 濟州巡撫御史書啓 朴天衡의 書契」, 《제주도사연구》 8.
김명철, 2000, 「조선시대 제주도 관방시설의 연구-읍성・진성과 봉수・연대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영권,제주 역사 기행,한겨레신문사,2004,pp.69-71
차용걸, 1980, 「조선전기 관방시설의 정비과정」, 《한국사론》 7, 국사편찬위원회.
좌동철, 2016, 제주일보, 외적의 침입 알린 봉수대 특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