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과 | 국어국문학과 | 학년 | 3학년 |
---|---|---|---|
과목명 | 현대시론 | 자료 | 6건 |
공통 |
다음 시집 중 한 권을 선택하여 읽고, 주요 작품을 중심으로 시를 분석하여 비평문을 작성하시오. (단, 아래 유의사항을 반드시 숙지하여 글을 쓰시오.) 1. 서정주, 『미당 시전집 1』, 민음사, 1994.(그외 출판사에서 출간된 서정주 시집도 모두 무방함) 2. 조지훈, 『승무』, 미래사, 1991.(그외 출판사에서 출간된 조지훈 시집도 모두 무방함) 3. 김종삼, 『김종삼 시선』, 지만지, 2014.(그외 출판사에서 출간된 김종삼 시집도 모두 무방함) 4. 김광규, 『우리를 적시는 마지막 꿈』, 문학과지성사, 1979. 5. 곽재구, 『사평역에서』, 창비, 2013. 6. 함민복, 『자본주의의 약속』, 세계사, 1993. 7. 나희덕,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 창비, 1994 <유의사항> ① 과제물 작성시 <현대시론> 강의에서 공부한 ‘비유’, ‘상징’, ‘이미지’, ‘리듬’, ‘화자’, ‘어조’, ‘시어’ 등 시론의 주요 용어를 적극 활용하고, 주요 작품을 3편 이상 선정하여 시를 분석하여, 비평문을 작성한다. ② 비평문의 내용을 드러낼 수 있는 적절한 제목을 글의 앞머리에 반드시 붙인다. 필요한 경우, 소제목을 붙일 수 있다. ③ 주제가 잘 드러날 수 있도록 글의 제목을 정하고 반드시 ‘(글의) 제목–도입 부분–시 분석–글의 마무리’ 형식으로 글을 쓴다. 글을 쓰기 전에, 개요를 미리 구상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④ 맞춤법, 띄어쓰기, 단락 나누기 등 글쓰기의 기본 형식에 유의하고, 문장의 연결, 글의 내적 연관성 및 완결성을 고려하여 한 편의 완성된 글을 쓴다. ⑤ 비평문의 주 대상은 대상 시집과 그에 대한 분석이 되어야 함을 반드시 기억한다. 글쓴이의 경험이 글의 중심이 되거나 지나친 감상 토로에 그칠 경우, 감점의 요인이 될 수 있다. ⑥ 시를 인용할 때는, 작품의 본문과 해당 페이지를 직접 인용한다. ⑦ 분량은 A4용지 약 4매로 한다. (표지와 문제 내용은 분량에서 제외한다. 시 인용은 전체 분량의 1/4을 넘지 않도록 한다.) 아래한글 또는 MS word 프로그램으로 글자 크기 12 포인트 이하, 줄간격 170으로 작성한다. ⑧ 시집과 교재 이외의 참고자료는 활용하지 않기를 권장한다. 가능한 자신의 생각을 중심으로 한 편의 글을 완성한다. 부득이 참고자료를 활용할 경우, 각주와 참고문헌 형식으로 서지정보를 정확히 제시한다. ⑨ 다른 사람의 글을 표절할 경우 0점 처리될 수 있다. |
파일오류 | 중복자료 | 저작권 없음 |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
---|---|---|---|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