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막연하게나마 경험을 통해 음악이 정서적 안정감과 풍요로움을 준다는 것을 알고 있다. 또한 조기에 교육할수록 유아들에 음악적 능력을 끌어 줄 수 있다는 많은 매체 정보와 연구 결과들을 보며 교사와 학부모는 유아기에 악기를 접하게 하고 배우게 한다. 또한 유아들이 음악을 통해 놀이하는 모습을 보면서 예로부터 많은 유아 교사들은 음악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다채로운 음악 교육을 실행해왔다.
음악 활동은 유아들이 자궁 안에서 청각 기관이 발달함과 동시에 시작되었다. 자궁 안에서 태아는 어머니의 심장 소리와 외부 소리를 들으며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며 반응한다. 이 때문에 많은 태교 방법으로 산모들은 좋은 음악을 태아에게 들려주고 직접 노래를 불러주고 하는 것이다. 자궁 안에서부터 감싸고 있었던 음악에 유아가 가장 빠르고 쉽게 반응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유아들은 음악을 통해 발달하고 자신을 표현하기도 한다.
하지만 유아교육 기관에 차별성을 위해 외부 업체에서 음악을 특강 형식으로 가르치기 시작하면서 유아 교사들이 직접 음악을 가르치는 일이 크게 줄어들었다. 음악이 특강이 되면서 매주 다양한 음악과 악기들을 접해 볼 수 있게 된 것은 좋은 점이지만 너무 특강에 의존하고 강사에게 모두 맡겨 버리고 그 시간에 밀린 업무를 하는 경우도 생기게 되었다.
현재 교육기관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교사들은 음악 수업이 왜 중요한지, 유아들이 음악 시간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음악적 재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주어야 할지에 대해 관찰하고 연구하고 고민하는 시간이 없어지거나 크게 줄어들게 되었다. 또한 교사 본인이 직접 음악을 가르쳐야 한다고 하였을 때 부담을 가지고 음악 수업을 기피하는 현상도 발생하게 되어 버렸다.
이에 유아 교사들이 알아야 할 유아 음악교육의 중요성과 음악교육에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음악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음악 교육 목표에 관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음악 교육가인 오르프의 음악 철학과 교수 방법을 살펴보면서 교실에서 교사가 음악 교육을 실행할 때에 적용할 수 있는 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보고서를 통해 한 번 더 음악 교육에 대해 생각해 보고 유아들에게 어떻게 음악을 교육할지에 대해 깊이 고민해 보도록 하겠다.
· 김영연, 「영유아음악교육의 이해」,㈜학지사,2020
· 김지선·이숙희 공저,「오르프와 E.M.P」,동문사,2010
· 권덕원·석문주·최은식·외 1인, 「제4판 음악교육의 기초」,교육과학사,2017
· 권은라, 「음악 감상을 통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언어창의성과 언어표현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 교육 연구,2008. Vol.8,mo1.
· 권종애·손은영 공저,「제2판 2019 개정 누리과정 영유아 음악교육,창지사,2020
· 서미란·이미나,「신체표현을 활용한 유아음악 놀이 프로그램 효과 연구」,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2019.1
· 임미경·현경실·조순이 외 2인, 「달크로즈,코다이,오르프,고든,포괄적 음악성 음악교수법」,㈜학지사, 2010
· 요스와이택 (김영전 편저) 「오르프 슐베르크 테크닉의 이해」, 음악세계,2008
· 윤영배·정윤선, 「유아,초등 음악 학습을 위한 오르프(Orff) 접근법과 악기 앙상블」,창지사,2005
· 임미경·현경실·조순이 외 2인, 「달크로즈,코다이,오르프,고든,포괄적 음악성 음악교수법」,㈜학지사, 2010
· 전인옥·이숙희 공저,「유아 음악교육」,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9
· 최민수,정혜현,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 실태에 따른 만5세 유아의 음악적 능력 차이」,한국영유아보육학회,2017.1
· 황은영,「신체표현을 사용한 음악 감상이 만5세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치료학회지,20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