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과 2학년] 채권양도의 효력에 관한 판례를 검색하여 목차에 따라 정리하여 서술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04.13
- 최종 저작일
- 2021.04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000원
소개글
[법학과 2학년] ‘채권양도의 효력’에 관한 판례를 검색하여 목차에 따라 정리하여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실관계
2. 법적 쟁점과 법원의 판단
1) 통지의 방식
2) 통지의 시기
3) 통지의 철회
4) 통지의 일반적 효력
3. 판결에 대한 자신의 의견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채권양도란 채권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법률행위에 의하여 그 채권을 이전하는 것이다. 즉 법률행위에 의한 채권자의 교체를 의미한다. 채권양도는 양도인과 양수인 사이의 법률행위인 ‘양도행위’에 의해 행해지는데, 물권행위와 구별하여 준 물권행위라고 하며 채무자는 계약의 당사자는 아니나, 직접적인 이해관계인이 된다. 그러므로 채권양도에는 양도인, 양수인, 채무자 등 3당사자가 존재하며 채무자의 이익보호와 거래안전보호 및 양수인의 권리보호 사이에 적절한 규형이 필요하다. 채권양도는 경제적 목적과 기능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채권양도는 한국법률규정 (제399조, 제481조 등)·상속·유증·전부명령(민사집행법 제231조) 등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이러한 제도들이 모두 다 채권양도는 아니다. 채권양도는 오직 계약에 의한 채권의 이전만을 의미한다. 또 채권양도에 의하여 채권은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이전하므로 채권에 종된 권리, 채권에 부착하고 있는 각종의 항변권 등은 당연히 양수인에게 이전하다. 따라서 종 된 권리, 예컨대 기본적인 이자채권· 위약금채권·담보물권·보증채무 등의 권리도 원칙적으로 양수인에게 이전한다. 별도의 양도행위를 할 필요가 없다. 또 저당권은 그 담보한 채권과 함께만 양도할 수 있으므로(제361조), 채권양도와 동시에 저당권이전의 등기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채권양도의 효력’에 관한 판례를 검색하여 목차에 따라 정리하여 서술해 보겠다.
Ⅱ. 본론
1. 사실관계
채권양도가 행해질 경우 양도인이 이를 채무자에게 통지하거나 또는 채무자가 이를 승낙하지 않으면 양수인이 채무자에 대하여 채권을 행사할 수 없다. 다만 채무자에 대한 대항요건은 채무자의 이익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채자가 이익을 포기하여 채권자와의 약으로 대항요건 없이 대항할 수 있음을 약정하는 것은 무방하다고 해석하는 것이 학설과 판례의 태도이다. 채권양도의 승낙은 양도행위에 대한 사전 동의 또는 사후승인을 의미하며, 계약체결의 요소로서 승낙과 구별된다.
참고 자료
이상욱, 『채권총론』, 영남대학교출판부, 2005.
김형배, 민법학강의(제9판), 신조사, 2010.
이은영, 채권총론, 박영사, 2006.
이은영, "채권양도에 관한 최근판례동향", 고시계, 2000.
윤철홍, “채권양도의 ‘통지권자’에 관한 개정론”, 法曹, 2012.(통권 제66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