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업과문화기획 4학년] 교재 27쪽에 보면 정체성 정치에 대한 언급이 나옵니다. 이 내용을 참조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거나 벌어지고 있는 정체성 정치의 사례를 하나 골라 그것이 기존의 어떤 정체성을 어떻게 변화시키려 하며 어떤 수단을 사용하는지 분석해 보십시오.(30점)
수어지교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미디어영상학과, 생활과학과, 문화교양학과 | 학년 | 3학년 |
---|---|---|---|
과목명 | 문화산업과문화기획 | 자료 | 12건 |
공통 |
교재 27쪽에 보면 정체성 정치에 대한 언급이 나옵니다. 이 내용을 참조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거나 벌어지고 있는 정체성 정치의 사례를 하나 골라 그것이 기존의 어떤 정체성을 어떻게 변화시키려 하며 어떤 수단을 사용하는지...
교재 27쪽에 보면 정체성 정치에 대한 언급이 나옵니다. 이 내용을 참조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거나 벌어지고 있는 정체성 정치의 사례를 하나 골라 그것이 기존의 어떤 정체성을 어떻게 변화시키려 하며 어떤 수단을 사용하는지 분석해 보십시오.(30점)
|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문화산업과문화기획 4학년] 교재 27쪽에 보면 정체성 정치에 대한 언급이 나옵니다. 이 내용을 참조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거나 벌어지고 있는 정체성 정치의 사례를 하나 골라 그것이 기존의 어떤 정체성을 어떻게 변화시키려 하며 어떤 수단을 사용하는지 분석해 보십시오.(30점)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정체성 정치란
2. 디아스포라와 조선족
3.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거나 벌어지고 있는 정체성 정치의 사례
4. 조선족에 대한 기존의 어떤 정체성을 어떻게 변화시키려 하며 어떤 수단을 사용하는지 분석
1) 조선족에 대한 기존의 정체성
(1) 노동력
(2) 매개자
(3) 수혜자
(4) 피해자
2) 조선족에 대한 기존의 어떤 정체성을 어떻게 변화시키려 하며 어떤 수단을 사용하는지 분석
(1) 한국사회의 단일민족의식 강조
(2) 중국소수민족으로서 정체성 형성의 매개기능강화
(3) 민족적 이질감 확대
(4) 민족개념의 고정적 인식
5. 시사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정체성의 정치는 넓은 외연을 가진 개념으로서 시대와 맥락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변화하였다. 국민국가시대 정체성의 정치는 국가권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국민적 정체성의 형성과정 즉 동일화의 과정이었다. 그러나, 세계화와 초국가주의의 대두는 국경을 초월한 활발한 인구의 이동을 야기했으며, 국가 내 다양한 인종과 민족에 대해 더 이상 획일적인 동일화를 어렵게 했다. 이에 따라 정체성의 정치는 그 주체가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가 일었으며 다양한 방식과 통로를 통해 형성되는 다양한 주체들과 그들의 다중적 정체성을 포섭하기 위한 정체성의 정치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정체성의 근간이 되는 자아 의 개념도 과거에는 역사, 정치, 사회, 문화, 언어의 테두리에서 형성된 구성물로 인식하고 고정불변의 본질적인 것으로 보았으나, 현재는 자아가 더 이상 어떤 본질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끊임없이 구성되는 존재로서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드러나고 재구성된다는 이른바 관계적 자아 로 봐야한다고 주장되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거나 벌어지고 있는 정체성 정치의 사례를 하나 골라 그것이 기존의 어떤 정체성을 어떻게 변화시키려 하며 어떤 수단을 사용하는지 분석해 보겠다.
Ⅱ. 본론
1. 정체성 정치란
정체성 정치란 인종, 종교, 젠더, 성적 지향, 장애 등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적 사상을 의미하며 이 용어의 기원은 근대적 국가의 출현과 함께 내셔널리즘이라는 용어가 탄생하면서 생겨났다. 한국 학계에서 정체성 정치에 대한 연구는 정체성 정치의 이론에 대한 연구, 집단 및 계층 간의 사회운동으로서의 정체성 정치에 대한 연구, 소수자의 문화적 권리 및 정체성 정치에 대한 연구 등 세 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첫째, 정체성 정치의 이론에 대한 연구는 정체성 정치의 이론적 접근으로 인정의 정치, 사회 정의, 다름의 정치, 인정투쟁, 다문화 정치 등의 개념으로 논의하였다.
참고 자료
설동훈, 『노동력의 국제이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004.
박광동, “다문화사회와 법제적 시사점”, 법학연구, 제50집, 2016.
강수옥, “중국 조선족의 역사적 형성과 정체성”, 디아스포라연구, 제7권1호, 2013.
김은미·김지현, “다인종·다민족사회의 형성과 사회조직: 서울의 외국인 마을사례”, 한국사회학, 42(2), 2008.
김영란, "다문화사회 한국의 사회통합과 다문화주의 정책", 한국사회, 제14집, 2013.
김진열·조예신, “재한조선족 집단거주지의 분절동화현상에 대한 함의”,다문화와 평화, 11권 1호, 2019.
박 우, “한국 체류 조선족 단체의 변화와 인권투쟁에 관한 연구”, 경제와 사회, 제91호, 2011.
박정군·황승연·김중백, “중국조선족 정체성의 결정요인: 사회 인구학적특성을 중심으로”, 동북아연구, 제26권 1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