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문화교육론 다문화교육론 강의에서 다룬 학자 가운데 가장 관심이 가는 학자 한 명의 이름을 쓰고, 그 이유를 간단히 쓰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문화교육론 강의에서 다룬 학자 가운데 가장 관심이 가는 학자 한 명의 이름을 쓰고, 그 이유를 간단히 쓰시오.(20점, A4 1매내외) 개인적인 경험이나 다문화교육경험, 한국사회 문제점등 어떤 이유도 가능함.
1) 사례
2). 뱅크스 (Banks)
(1) 다문화교육의 목적
(2) 다문화교육 접근법 : 학교에서 다문화교육을 접근하는 4가지 다른 성격의 유형 제시
(3) 다문화교육의 영역과 차원 : 다문화 교육을 할 때 고려해야 하는 기본적인 차원
2. 학교교육의 특성을 3가지 꼽고 이를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시오.(20점, A4 1매내외)
1) 이주배경에 초점을 맞춘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교육
2) 다문화 중점학교 운영의 한계
3)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전문성 부족
3. 평생교육 프로그램 하나를 선정하여(인터넷도 가능: 다문화교육 아니어도 됨) 분석하고(문제점 중심), 대안적 차원에서 다문화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시오.(30점, A4 2매내외)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사례
“내가 네팔에 있을 때, 애들이 다른 애들을 놀릴 때 별로 관심이 없었는데 한국에 오니까 알게 되었다. 그 아이가 얼마나 외로웠는지. 애들이 교과서에 나처럼 까무잡잡한 애가 나오면 ‘야 너랑 똑같은 애다’ ‘야 쏘레가 나왔다’고 말한다. 나는 그게 제일 속상하다. 이번 주 주생활 목표는 ‘중국 물건을 사용하지 말자’입니다. ‘중국 물건은 잘 부서지고 질이 좋지 않습니다. 음식도 안전하지 않습니다’라는 학급대표의 말에 아이들이 수군거렸다. “맞아 어제 TV에서도 가짜 물건은 다 중국에서 들어온데” “중국 사람은 잘 안 씻는대.” 어머니가 중국교포인 동운(가명)이의 얼굴빛이 어두워졌다. “아니야. 중국 물건도 좋은 물건 많아. 너희들이 몰라서 그래. 중국 사람 안 더러워, 우리 엄마는 매일 샤워해.”
위의 사례와 같이 특정 국가에 대한 편견과 인종차별을 보여주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진행한 다문화학생의 실태조사에서는 다문화가정 학교 내 차별 경험 설문 조사에서도 알 수 있다. 조사에 따르면 학교를 그만둔 청소년은 ‘소외, 무시’를 당한 경험이 많았다. 그리고 ‘학교를 그만두고 싶다’고 답한 이주 아동・청소년가운데 26.7%는 ‘한국 학생들이 외국인을 무시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주아동・청소년의 부모를 상대로 한 조사결과도 비슷했다.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한계와 그 문제점들을 잘 보여주고 있다. 다문화교육의 대상이 한국인과 이주민에 대한 교육이 분리되어 있다. 또한 이주민 내부에서도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라는 특정 대상에 집중되어있다.
2. 뱅크스 (Banks)
1) 다문화교육의 목적
- 학생들이 다른 문화의 관점으로 자신의 문화를 바라봄으로써 자기이해 증진
- 학생들에게 문화적 민족적 언어적 대안을 가르침
- 모든 학생들에게 자문화, 주류문화, 타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사회에서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를 길러줌
- 소수집단이 그들의 인종적 신체적 문화적 특성 때문에 겪는 고통과 차별 감소
참고 자료
김한길, 소경희(2018)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 문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성격의 변화 양상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2018, vol.11,no.2,pp. 59-83 (25 pages)
이정금(2018) 미래사회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의 방향 탐색 2018, vol.24,no.1, 통권 55호 pp. 549-567 (19 pages)
정영애, 류영철(2018) 다문화 정책학교의 다문화교육 접근법 분석: Banks의 다문화교육 접근법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2018, 제12집 3호
정지선(2018) 학교 현장에서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8, vol.10,no.4,pp. 33-60 (28 pages)
김기영(2017) 한국 다문화 교육 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입법과 정책 2017, vol.9,no.1,pp. 371-393 (23 pages)
김수홍 (2016)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법적 과제, 교육법학연구 2016, vol.28,no.2,pp. 27-57 (31 pages)
박영준(2016) 한국 다문화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고찰, 다문화콘텐츠연구 2016, vol.,no.21,pp. 297-322 (26 pages)
차윤경, 안성호, 주미경(2016) 함승환융복합교육의 확장적 재개념화 가능성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2016, Vol. 9, No. 1, pp. 153-183.
조영달, 박윤경, 성경희, 이소연, 박하나(2010) 학교다문화교육의 실태분석, 시민교육연구 제 42권 1호 (2010년 3월) pp. 151~184.
채재은, 허준(2012) 평생학습시대의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미국, 영국, 스웨덴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012, Vol. 22, No. 1, pp.1-23
김계희(2018) "평생교육 과제로서의 다문화이해교육" VOL.- NO.- (2018)
2019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광주평생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