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2. 기후변화의 현황과 원인
3. 기후변화가 코로나 바이러스에 미친 영향
4.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2011년 개봉한 <컨테이젼>은 마치 지금 진행되는 코로나19사태를 예견한 듯한 영화이다. 이 영화에서도 알 수 없는 경로를 통해 전파된 바이러스가 전 세계에 퍼지면서 사람들이 사망한다. 이 영화는 결말에서 바이러스 발생 원인을 보여준다. 공장을 짓기 위해 숲을 파괴하고, 서식지를 잃은 박쥐들이 돼지 축사로 날아들고, 돼지는 박쥐에게서 바이러스를 옮기고, 감염된 돼지를 만지고 손을 씻지 않은 요리사와 그와 접촉한 최초 감염자에 의한 것이다. 이 결말이 시사하고 있는 것은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에 의한 생태계 파괴가 그 원인이라는 것이다.
코로나19 또한 인수 공통 전염병으로 박쥐에게서 사람에게 옮게 되었다. 여기에는 사람들의 무분별한 개발도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무분별한 개발과 경제활동으로 인한 기후변화 또한 전염병의 확산에 일조한다. 실제로도 기후가 오르면 말라리아에 감염될 확률이 더 높아지기도 한다.
근대 이후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상호부조의 관계에서 자연을 짓밟고 정복하는 관계가 되었다. 근대의 주요한 철학자 중 한 사람은 “자연을 강간”한다는 표현까지 쓰면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력을 과시하고 강조하기도 했다.
참고자료
· 국토환경정보센터, 「국토환경테마정보」, http://www.neins.go.kr/etr/climatechange/doc04b.asp, 접속일 2020.05.08.
· 이호준, 「오늘은 지구의 날…“코로나19 원인은 기후변화·생태계파괴”」, KBS뉴스, 2020.04.22.,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430334, 접속일 2020.05.08.
· 노윤정, 「전염병과 기후위기의 상관관계」, LIFE IN, 2020.04.03., http://www.lifein.news/news/articleView.html?idxno=10133, 접속일 2020.05.0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