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 교재 1,3,7장의 출석수업 범위에 해당하는 내용을 A4용지 3장 분량 정도로 요약하고(10점), 교재 1장 3절
레포트천사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과목명: 가족복지론과제명: 교재 1,3,7장의 출석수업 범위에 해당하는 내용을 A4용지 3장 분량 정도로 요약하고(10점), 교재 1장 3절 (현대가족의 성격, p.33:19 ~ 37:1)에서 제시된 가족 변화의 주요 동향 중 ①가족의 보호기능 약화, ②가족규모의 축소, ③가족주기상의 변화, ④기혼여성의 사회활동 참여 증가, ⑤이혼율 변동, ⑥다양한 가족유형의 증가 등 6가지 동향에 대하여 최신 통계청 조사결과(KOSIS 국가통계포털 홈페이지http://kosis.kr/ 참조) 또는 매체 보도 등의 결과를 인용하여 구체적 근거를 제시하시오(20점).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가족복지론 강의 요약
1) 1장: 현대 가족의 성격
2) 3장: 가족복지의 이해
3) 7장: 한국의 가족정책
2. 현대 가족의 성격의 동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이전 시대에 한국 사회를 구성하고 기반이 되었던 통념은 현대 사회와 점점 맞지 않는 옷이 되었다. 과거와는 달라진 사회 구조로 많은 것이 바뀌었는데, 그 중 ‘가족’의 개념과 구성이 이전과 비교하였을 때 많이 변화한 것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가족 단위로 경제 활동을 하는 인구 비율이 높았으나, 현대 사회로 올수록 가족이 무엇을 하는가보다 가족 구성원이 각자 활동을 하는 모습이 보편화되었다. 핵가족화된 데에는 다양한 사회, 경제적 요인이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는 핵가족을 넘어 1인 가구가 늘어난 데에도 기여하였다. 나아가 미혼모 가정, 이혼 가정, 동거 등 가족의 개념이 확장되었다. 오늘날 이와 같은 가족의 해체적 현상과 그 개념의 확장은 우리 사회가 미처 대비하지 못한 부분에서 문제를 낳기도 해 사회적 관심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레포트에서는 먼저 현대 가족의 변화상을 알아보기 위해 가족에 대한 이해부터 전통 가족과 현대 가족의 다른 점을 알아보겠다. 이로부터 도출해볼 수 있는 현대 가족의 특징을 정리해보고 해외의 사례도 참고하여 한국 현대 사회의 가족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기술하겠다. 이후, 한국의 가족 변화상 중 가장 두드러지는 동향 6가지를 추려 통계 자료를 근거로 들며 상황을 분석하고 미래 추이에 관해 살펴보겠다.
Ⅱ. 본론
2-1. 가족복지론 강의 요약
(1) 1장: 현대 가족의 성격
오늘날 가족에 대해 보편적인 통념이 존재하나, 이전에는 고대 사회 때부터 가족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꾸준히 있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은 가족에 대한 개념은 직관적으로 받아들여지기보다는 과학적인 조사와 연구에 의해 정립돼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참고 자료
“통계의 창.” 통계교육원, 2019 겨울호. http://sti.kostat.go.kr/window/2019b/main/2019_win_09.html“가족의 형태별 분포.” e-나라지표. 2017.01.20. 입력, 2020.05.17. 접속.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6
“어린이집 시설수 및 아동 현황.” e-나라지표. 2020.04.28. 입력, 2020.05.17. 접속.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83
“노인복지시설 현황.” e-나라지표. 2020.03.11. 입력, 2020.05.17. 접속.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66
“2019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통계청. 2019.07.01. 입력, 2020.05.17. 접속.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5629
“2018년 출생 통계.” 통게청. 2019.08.28. 입력, 2020.05.17. 접속.
http://kostat.go.kr/assist/synap/preview/skin/doc.html?fn=synapview377055_1&rs=/assist/synap/preview
“기대수명(0세 기대여명) 및 유병기간 제외 기대수명(건강수명).” e-나라지표. 2019.12.26. 입력, 2020.05.17. 접속.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58
“2019 고령자 통계.” KDI 경제정보센터. 2019.09.27. 입력, 2020.05.17. 접속. http://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192849
"2019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부가항목) 자녀별 여성의 고용지표.“ 통계청. 2019.12.06. 입력, 2020.05.17. 접속.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3/3/index.board?bmode=read&aSeq=379086
“여성 고용동향.” e-나라지표. 2020.03.18. 입력, 2020.05.17. 접속.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97
장근호. “[제2018-34호] 우리나라 고용구조의 특징과 과제.” 한국은행. 2018.11.04. 입력, 2020.05.17. 접속.
https://www.bok.or.kr/portal/bbs/P0002454/view.do?nttId=10048050&menuNo=200431&pageIndex=1
장욱. 변화하는 우리나라의 가족제도 바로보기.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젠더리뷰. Vol.8 (2008): 33-37.
정창무. 초혼연령에 영향을 주는 사회경제적 변인. 국토계획. 제 43권, 4호 (2008): 105-118.
한경혜. “가족과 가구 영역의 주요 동향.” 한국의 사회동향 2019. 통계개발원. (2019): 56-68.
“2019년 혼인·이혼 통게.” 정부 24. 2020.03.19. 입력, 2020.05.17. 접속.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2120432
박태진. “‘비혼 동거도 가족’ 67%가 수용… 혼인·혈연 중심서 가족 개념 변화.” 시사위크. 2019.05.26. 입력, 2020.05.17. 접속.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122243
조해영. “시대따라 바뀌는 가족의 정석... 대가족 ->핵가족->1인가구.” 이데일리. 2019.09.18. 입력, 2020.05.17. 접속.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587926622621432&mediaCodeNo=257>rack=sok
김효정. “이런 가족도 있습니다.” 주간조선. 2019.09.23. 입력, 2020.05.17. 접속.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1&nNewsNumb=002575100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