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론) 한국사회에서 돌봄과 육아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받아들여지게 된 역사는 길지 않다
- 최초 등록일
- 2021.01.22
- 최종 저작일
- 2021.0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교과목명: 사회문제론
<과제명>
※ 한국사회에서 돌봄과 육아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받아들여지게 된 역사는 길지 않다. ①한국 사회에서 돌봄과 육아를 둘러싼 상황은 어떠한지 ② 돌봄과 육아를 바라보는 시각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③ 이 문제를 사회문제로 보는 것은 왜 중요한지 ④ 이 문제는 다른 사회문제*들과는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⑤ 사회문제로서 앞으로 어떻게 해결해가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가능하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면서 서술하시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돌봄과 육아의 사회문제화
2. 돌봄과 육아의 문제와 다른 사회문제들 사이의 상관관계
III. 결론-돌봄과 육아 문제의 해결 방법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나라에서는 ‘독박 육아’라는 말이 있다. 부부 중에서 한 쪽이 자녀 양육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전적으로 떠맡은 상황을 표현하는 단어이다. 그런데 이 독박 육아는 주로 여성, 아내가 맞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현대 사회에 진입하면서 가족 형태는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변화해 왔는데, 여기서 말하는 핵가족은 부부와 자녀 세대로 구성된 가족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핵가족에서 자녀 양육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부모에게 있다. 그런데 부모가 자녀에게 부모로서의 부양과 양육 의무를 다하는 방식이 아버지와 어머니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단어는 ‘전업주부’이다. 전업주부라는 것은 전업으로 가사와 육아를 수행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전업주부가 있다는 말은 가족 안에서 가사와 육아를 책임지지 않는 사람도 있다는 의미이다. 주로 집안의 남편, 아버지가 그러했다. 남편이 가사와 육아의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던 이유는 그가 사회에 나가서 직업 활동을 하거나 사업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제적 소득을 벌어오기 때문이다. 즉, 현대 사회에서 핵가족이 등장한 이후로, 그리고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에서 인간의 노동력이 상품화 되어 인간은 특정한 사용인에게-그것은 기업이 될 수도 있고 개인이 될 수도 있다- 예속되어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것에 대한 대가로 월급을 받는 세상이 되면서 부부는 역할을 분담하기 시작했다. 남편은 외부 경제 활동을, 아내는 내부 가사와 육아를 담당하는 것으로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독박육아’에서 말하는 상황은 전업주부에게는 당연한 일이다. 전업주부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 이런 부정적인 뉘앙스를 주는 단어가 등장한 이유는 무엇일까. 왜냐하면 요즘 들어서 맞벌이 부부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맞벌이 부부가 늘어난다는 것은 부부 모두가 직업 활동을 하면서 소득을 얻는다는 의미이다.
참고 자료
연합뉴스, 신재우, 2019.4.21. 육아 가사 부담 여성 편중 여전.. 아내, 남편 비중 7대3
중앙일보, 허정원, 2020.2.27. 출산율 0.92명... 세계 꼴찌 기록 또 경신
한겨레21, 제현주, 2018.1.17. 아이를 안 낳는 ‘만 가지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