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론) 한국사회에서 돌봄과 육아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받아들여지게 된 역사는 길지 않다
- 최초 등록일
- 2021.01.18
- 최종 저작일
- 2021.0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교과목명: 사회문제론
<과제명>
※ 한국사회에서 돌봄과 육아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받아들여지게 된 역사는 길지 않다. ①한국 사회에서 돌봄과 육아를 둘러싼 상황은 어떠한지 ② 돌봄과 육아를 바라보는 시각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③ 이 문제를 사회문제로 보는 것은 왜 중요한지 ④ 이 문제는 다른 사회문제*들과는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⑤ 사회문제로서 앞으로 어떻게 해결해가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가능하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면서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2-1. 전통 사회에서의 여성의 역할
2-2. 돌봄과 육아에 대한 인식 변화
2-3. 성역할 해방으로 가는 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의 생애 주기, 라이프 사이클은 인간이 태어나고 죽을 때까지의 주기를 말한다. 아주 예외의 경우를 제외하고 영아로 태어난 인간은 독립적인 인간이 될 때까지 성인 보호자의 보호를 받아야 하며 이후 일정 기간 자립적으로 살다가 노인이 되어 거동이 불편할 때 또 누군가의 돌봄을 받아야 한다. 성별에 상관없이 인간은 생애 주기 동안 신체의 변화에 따른 동일한 주기를 겪는다. 주기를 단계별로 나누어 보면 어느 단계에 도달하고 끝이 나는지에 대한 시간적 차이는 조금씩 있지만, 고대 사회부터 현대 사회까지 생애 주기는 인간이라면 당연히 겪게 되는 것이다. 독립적 인간인 시간을 제외하고 인간은 항상 보호받는 시기를 겪는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결함이 있지 않는 한 앞서 언급하였듯이 보호자는 보호 대상이 영아일 때는 육아를 해야 하고 노인일 때는 돌봄을 해야 한다. 인간이기에 누구나 겪는 생애 주기와 그에 따른 보호자의 역할은 어찌 보면 보호자라면 해야 하는 매우 당연한 행위이다. 하지만 본 레포트에서는 이 돌봄과 육아를 하는 행위의 주체가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여성이 담당해왔다는 현실에 초점을 두고 이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여성은 과거 사회에서부터 남성이 하지 않는 일을 맡아 해왔다. 고대 사회에서 가족과 같은 집단이 생겨날 즈음부터 집단의 생존을 위해 사냥 등 식량을 해결해야 하는 역할을 담당했다면 여성은 집단이 내부적으로 문제가 없도록 내부 살림을 도맡아 했다. 신체적 구조의 다름으로 여성만이 아이를 낳고 기르는 것을 할 수 있었고 남성이 신체적 힘이 더 세기 때문에 남성이 밖으로 나가게 된 것은 매우 자연적인 현상이었다. 하지만 사회상이 다양해지고 신체적 다름이란 이유 하나만으로 여성과 남성에게 지워지는 역할은 점점 명확히 구분되어져왔다. 열성과 우성으로 나눌 수 있는 것이 아님에도 여성은 약하니 집 안에, 남성은 강하니 밖으로라는 식의 사회적 인식이 팽배하였다.
참고 자료
정대연 외 3명. “[녹아내리는 노동] 남녀 차별에 굴절된 육아와 가사... 모두의 돌봄권 인식 필요.” 경향신문. 2020.02.12. 입력, 2020.06.10. 접속.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2002120600005
최성재. “[최성재 서울대 명예교수의 100세 시대 생에 설계] 생애주기란 무엇인가?” 매일경제. 2019.11.05. 입력, 2020.06.10. 접속. http://senior.mk.co.kr/cp/newsview.php?sc=80500002&cm=%C0%BA%C5%F0%20%C4%AE%B7%B3&year=2019&no=911047&relatedcode=&mc=B
조성은. “돌봄을 전담하는 것은 엄마, 아내, 며느리, 딸이다.” 프레시안. 2020.03.09. 입력, 2020.06.10. 접속.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82046
“양아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0.06.10. 접속.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4723
박경숙. “복지사회와 여성.” 특집 개원 10주년 기념 학술 세미나 「21세기와 여성」. 학술지 여성연구. 제 39호. 2013.
“출산 및 육아휴직 현황.” 통계청. 2020.01.17. 입력, 2020.06.10. 접속.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04
“2019년 출생.사망통계 잠정결과.” 통계청. 2020.02.26. 입력, 2020.06.10. 접속.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80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