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기능주의와 갈등주의 관점 빈곤, 북한이탈주민 아사사건 빈곤의 원인 및 해결
*준*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구조기능주의와 갈등주의 관점 빈곤, 북한이탈주민 아사사건 빈곤의 원인 및 해결"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구조기능주의와 갈등주의 관점에서 빈곤의 원인과 해결방법을 비교하시오. (10점)1) 빈곤이란?
2) 빈곤의 원인
3) 기능주의와 갈등주의 정의
4) 기능주의 및 갈등주의 차이점
5) 기능주의 이론에서의 빈곤원인 및 해결책
6) 갈등주의 이론에서의 빈곤원인 및 해결책
2. 북한이탈주민 아사사건을 요약하고, 이 사건의 빈곤의 원인과 문제해결을 방법을 자신이 지지하는 관점에 기반해 논하시오. (20점)
1) 북한이탈주민 아사사건
2) 기능주의 이론을 기반으로하는 빈곤의 원인 및 해결책
참고문헌
본문내용
빈곤이란 구체적으로 "단순히 물리적인 힘을 보존하거나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본 물자가 부족한 상태" 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빈곤은 보통 '절대적 빈곤' 과 '상대적 빈곤' 으로 나누어지는데, 일반적으로 절대적 빈곤은 좀 더 낮은 생활수준을 가리키고 상대적 빈곤은 절대적 빈곤보다는 높은 생활수준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빈곤의 문제는 개인과 가족에서 미치는 미시적인 차원의 의미와 지역사회와 국자 전체에 미치는 거시적인 차원의 의미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미시적 차원의 빈곤은 개인과 가족에게 삶과 죽음이라는 인간 생존 자체에 대한 심각한 문제이다. 거시적 차원의 빈곤은 사회해체를 초래하는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한 지역에 있어서 다수의 빈곤은 다른 집단과 계층에서 파급된다. 이는 빈곤으로 인한 비행과 범죄의 희생자는 지역사회의 구성원이 되고, 이러한 빈곤집단은 정치적 불안을 야기하게 되면, 궁극적으로는 사회해체를 유발하여 사회적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 사회는 압축성장 과정을 거치면서 변신을 거듭해왔다. 그러한 성장의 그늘에 놓여 있었던 도시 빈민들도 빈곤의 양상이나 그 사회적 구성에서 큰 폭의 변화를 경험했다. 해방 이후 귀환한 해외동포와 월남한 북한주민, 그에 뒤이은 농민들이 도시빈곤층으로 편입되었고, 이농의 물결이 잦아들어 빈민의 외부 충원 메커니즘이 작동을 멈춘 최근에는 도시 내에서 빈곤의 재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빈곤의 양상 또한 도시 주민 대다수가 가난을 겪었지만 곧바로 빈곤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보편적 빈곤’, ‘일과성 빈곤’에서 특정 소수에게로 빈곤이 집중되고 빈곤의 늪에 빠지면 쉽사리 벗어나기 어려운 ‘특수적 빈곤’, ‘구조적 빈곤’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1990년대 후반의 외환위기 이후 고도성장의 신화가 무너지기 시작하고 위기 돌파의 새로운 전략으로 신자유주의적 시장경제 질서가 자리 잡게 되면서, 도시빈곤의 속성이나 위상이 근본적으로 바뀌었다고 보는 ‘질적 단절’론이 제기되고 있다.
참고 자료
김기원 (2019), 빈곤론. 정민사노병일 (2013), 빈곤론. 양서원
김경희 (2017). [4장] 남북한 사회통합 과정에서 여성 가족쟁점과 정책과제. 선진
화 정책시리즈, 127-157
탈북 모자 아사 사건, 왜 탈북민들이 경계에서 소외되나?, 가스펠투데이,
http://www.gospeltoday.co.kr)
김경희 (2017). [4장] 남북한 사회통합 과정에서 여성 가족쟁점과 정책과제. 선진화 정책시리즈, 127-157
최지선, 허숙민 (2020). 주민이 참여하는 복지사각지대 발굴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 한국지역사회복지학, 72, 89-114.
여현교(2019.10.11.). 봉천동 탈북모자 아사 사건. 한국기자협회보.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46708)
김승환(2019.11.4.). ‘성북구 네 모녀 사망’ 거센 후폭풍...사회안전망 재정비 목소리 잇따라. 세계일보. (http://www.segye.com/newsView/2*************?OutUrl=daum).
김태완 외.(2017). 2017년 기초생활보장 실태조사 및 평가연구. 세종: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지혜(2016).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부양의무자 기준의 위헌성.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부양의무자기준과 사회적 기본권의 보장 토론회 자료집. 19-36.
여유진 김미곤 황도경 김명중 정용문 정재훈 이주미(2017).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에 따른 정책과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손병돈. 이소정. 이승호. 변금선. 전영호(2013).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평택대학교 산학협력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