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전과목 원점수 100점(당연히 올A+) 받은 학기의 과제물 중 하나입니다.
직접 충분히 자료조사하고 교수님들이 선호하시는 방식으로 서술했습니다.
목차
I. [문제 1] 아래의 제시된 문제들 중에 5개를 설명하시오.
1. 국민학교와 초등학교를 졸업한 사람의 문화적인 차이
2. 세대내 차이의 주요 원인
3. 21세기 디지털 시민성
4. 노년기 부모세대와 성인 전기 자녀세대의 가치관 차이와 소통법
5. 인공지능의 빛과 그림자
II. [문제 2] 영화 <국제시장>를 보고, 세대갈등의 관점에서 영화평을 작성하시오.
1. 서 론 : 가장세대와 비가장세대
2. 본 론
2-1. 가장세대와 비가장세대를 대조한 영화
2-2. 가장세대와 비가장세대의 세대갈등
2-3. 가장세대와 비가장세대의 통합
3. 결 론 : 만하임식 세대정의의 필요성
본문내용
1. 국민학교와 초등학교를 졸업한 사람의 문화적인 차이
우리나라는 초등교육기관 명칭을 ‘국민학교’로 하다가, 광복 50주년인 1996년 8월부터 ‘초등학교’로 변경했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1983년생까지는 국민학교를 졸업하고 1984년생까지는 초등학교를 졸업했는데, 크게 보면 1980년대 전후 출생자로 이들의 세대를 분류할 수 있겠다. 그런데 국민학교를 졸업한 사람과 초등학교를 졸업한 사람은 비단 연령뿐만 아니라 문화도 다르다.
① 국민학교 문화에서는 충효를 강조하고, 국가·스승·부모의 권위를 인정하며, 아버지를 중심하는 가부장제를 중시하고, 가족 같은 회사를 표방했다. 국민학교는 한 반에 70명 가까이 모여 박정희 정부의 반공주의·발전주의 가치에 기반한 유신교육을 실시했으며, 충실히 일하는 근로자를 ‘산업전사’라 부르며 성장제일주의를 강조했다. 때문에 국민학교 문화는 권위주의와 집단주의 문화로 요약된다고 할 수 있다.
② 초등학교 문화에서는 이와 달리 민주화를 바탕으로 수시 개정되는 교육과정이 적용되며 형성되어 왔다. 한 반이 20명 전후이고, 북한과 대화하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민주시민 교육이 이루어졌다. 이전과 달리 고도 성장 시기가 끝나 대학 졸업 후에도 취업이 어렵고 비정규직과 정규직 간의 격차가 큰 저성장 시대를 살다 보니 가부장제 역시 흐릿해져 호주제가 폐지되는 데 이르렀다. 그 결과 이전 시기와 달리 탈권위주의와 인주의 문화가 이전보다 뚜렷해 진 것이 국민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의 문화와 다르다.
2. 세대내 차이의 주요 원인
세대 내 차이란 동일한 연령대에 속한 개인이나 집단 간에 정치적 견해, 가치관, 문화 등에서 뚜렷하게 구별되는 다양한 의식, 태도, 가치관 등을 말한다. 동일 연령대에 속한 사람들 간에 차이가 빚어지는 원인을 교재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① 성별 차이 : 같은 연령대에 속한 사람들이라도 성별에 따라 삶의 조건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 블로그 「칼 만하임 세대의 문제」에서 발췌 : blog.naver.com/warmania99/100207299902
· 유범상 외, 세대와 소통, 지식의날개, 2020.
· 연합뉴스TV 인터뷰, 「국제시장 윤제균 감독 “부모와 자식세대 역지사지했으면”」, 2015. : www.yna.co.kr/view/MYH2015010801370003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