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론 ) 한국사회에서 돌봄과 육아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받아들여지게 된 역사는 길지 않다. 한국 사회에서 돌봄과 육아를 둘러싼 상황은 어떠한지
- 최초 등록일
- 2020.11.25
- 최종 저작일
- 2020.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1) 한국 사회에서 돌봄과 육아를 둘러싼 상황
2) 돌봄과 육아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
3) 돌봄과 육아가 사회문제로 보는 것의 중요성
4) 돌봄과 육아의 다른 사회문제와 관련성
5) 돌봄과 육아와 관련된 사회문제 해결 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는 산업화 이후 많은 국가가 질병이나 노령, 재해나 실업 등의 위험에 의해 소득이 감소하거나 영구적으로 상실될 수 있는 상황에서 구성원의 보호에 고민을 해왔다. 개인적인 노력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사회적 위험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구성원들은 일상생활이 불안정해질 수 있고 이는 개개인의 복지와 국가 발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회구성원이 적절하게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지원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증가하고 고령화 등의 변화로 일상적인 돌봄 욕구가 충족되는 과거와는 다른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다양한 돌봄서비스가 확대에서 우리나라는 주요 국가에 비해 늦은 편이다. 우리 사회에서의 돌봄과 육아에 대한 상황, 시각의 변화, 돌봄과 육아가 사회문제로 중요한 이유와 다른 사회문제와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사회문제로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2. 본론
1) 한국 사회에서 돌봄과 육아를 둘러싼 상황
우리나라는 출산을 하더라도 제대로 기를 수 없는 상황으로 지원 시스템의 미비와 같은 육아 지원 정책이 제대로 성립되지 못해 저출산과 직결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정책적 차원에서 구성원들의 불평등이나 불만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부의 역할인 공공 부분에서 적극적으로 복지정책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여성 취업의 증가로 자녀를 대리 양육해 줄 장치가 필요하지만, 실질적이고 적절한 정책은 마련되지 못하고, 정점에 달한 사교육비 부담 등으로 여성들의 출산 파업을 부추기고 있다.
돌봄과 육아로 인한 여성의 부담감은 저출산으로 이어지고 이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요소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발생하는 문제로 평가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아 지원정책 중 임신 및 출산에 대한 의사가 있음에도 사회적인 여건상으로 포기하는 사람들에게 출산 욕구의 실현을 위한 정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참고 자료
김은정(Kim Eunjeong). "주요 국가의 사회적 돌봄서비스 정책 현황과 특성" 社會科學硏究 VOL.27 NO.2 (2011):163-186
강혜경. "남성 육아휴직자의 양육 경험과 성별관계의 변화" 여성학논집 VOL.30 NO.2 (2013):133-167
김주희. "육아정책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