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4공통) 결혼이주민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중도입국청소년 난민 관심대상 선정한후 사회문제욕구파악하여 사회복지실천적정책적 해결방안제시
*용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사회복지학과 | 학년 | 4학년 |
---|---|---|---|
과목명 |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 | 자료 | 26건 |
공통 |
결혼이주민,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중도입국청소년, 난민 등 관심 있는 대상을 선정한 후, 그들이 겪는 사회문제나 욕구를 파악하여 사회복지 실천적ㆍ정책적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30점).
결혼이주민,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중도입국청소년, 난민 등 관심 있는 대상을 선정한 후, 그들이 겪는 사회문제나 욕구를 파악하여 사회복지 실천적ㆍ정책적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30점).
|
소개글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4공통) 결혼이주민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중도입국청소년 난민 관심대상 선정한후 사회문제욕구파악하여 사회복지실천적정책적 해결방안제시0k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4공통
결혼이주민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중도입국청소년 난민 등 관심 있는 대상을 선정한 후, 그들이 겪는 사회문제나 욕구를 파악하여 사회복지 실천적ㆍ정책적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30점).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 작성한 자료입니다.
과제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참고용이니 원본 그대로 제출하지 마시고
나름대로 창작적인 글 만드신다면
좋은 레포트와 논문이 되리라 생각합니다.구입자 여러분의 앞날에 행운이 항상
따르길 간절히 기원합니다. 홧팅^^
목차
Ⅰ. 서 론Ⅱ. 본 론
1. 결혼이주민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중도입국청소년 난민 등 관심 있는 대상선정
2. 그들이 겪는 사회문제나 욕구 파악
1) 경제적 적응의 어려움
2) 사회․문화적 적응의 어려움
3) 개인적 정신건강의 문제
3. 사회복지 실천적*정책적 해결방안을 제시
1) 사회복지의 인도주의적 가치실현: 재외국 탈북자에 대한 보호 역할
2) 기본적 생존권보장: 국내탈북자의 경제적 적응을 위한 지원 역할
3) 거주지 정착 후 지역사회차원에서의 후속적 사회적응교육 제공
4) 탈북자의 개별적 욕구 대응을 위한 자원봉사자의 모집과 훈련
4. 시사점
5. 나의 제언
Ⅲ. 결 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남북한 분단70년이라는 큰 길고 긴 시간이 지났다. 그러면서 우리와 북한은 인구, 말투, 옷차림이 다르다. 요즘 북한의 경제난으로 인해 먹고 살기 힘들어 우리나라로 오는 입국하는 탈북자들 많다. 탈북자(북한이탈주민)들은 북한 체제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이며 남한사회에 대한 일종의 동경을 가지고 입국하는 사람들이다. 그런데, 이들조차 우리 사회가 제대로 껴안지 못한다면 이 문제는 정말 심각한 것이 아닐까? 남북경협을 추진하는 것도 중요하고, 남북정상회담을 하는 것도 중요하며, 북핵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는 것 모두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적인 노력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오랜 세월동안 다른 환경 속에 살아왔던 북한 주민들을 통일의 동반자로서 받아들일 수 있는 성숙한 시민의식일 것이다.이미 우리는 독일 통일 이후 다양한 사회문화적인 후유증에 대해 익히 들어왔다. 이른바 ‘오씨’라는 낙인이 찍혀진 동독출신 주민들의 높은 실업률과 힘겨운 사회적응과정은 체제의 통일 이상으로 사회문화적인 통합의 중요성을 새삼 강조해주고 있다. 따라서 진정한 남북한 사회통합을 이뤄내는 통일이 되기 위해서라도, 또 통일된 이후의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먼저 ‘우리 안의 평화’를 훈련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바로 지금 우리의 일상 속에서 벌어지고 있는 크고 작은 갈등과 폭력을 시민들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평화적이고 민주적인 덕성과 역량을 갖추지 못한 채, 그야말로 통일이 ‘주어진다면’, 가장 큰 피해자들은 이북출신 주민들이 될 것이다.
서울시의회 00 의원이 조사한 결과 지난해 남한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은 4,580명으로 2000년 511명에 비해 9배 늘었다. 지난해 2019년말 현재 남한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은 모두 33,658명이다. 탈북자들의 연령대는 어느 한 층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층에 걸쳐 분포되어 있고, 탈북자 중에서도 청소년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새터민이 북한을 탈출하여 하나원을 거쳐 남한사회에서 정상적인 남한사회인으로 정착하기까지는 약 3년간의 기간이 소요된다고 한다. 그러나 탈북주민들이 남한사회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무엇보다도 생소한 사회에 대한 부적응이 큰 이유다.
이 장에서는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4공통) 결혼이주민 이주노동자 북한이탈주민 중도입국청소년 난민 등 관심 있는 대상을 선정한 후, 그들이 겪는 사회문제나 욕구를 파악하여 사회복지 실천적ㆍ정책적 해결방안을 제시하기로 하자.
참고 자료
권 혁. (1999). 고난의 강행군. 서울: 정토출판.길은배. (2004).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적응실태 및 지원방안연구. 「2004년도 정책제안집: 한국청소년개발원」. p. 58.
김경웅 외 5명. (1998). 「신북한 개론」. 서울: 을유문화사. p.114.
김엘리, 북한 이탈 여성 주민 생활 실태 조사 결과 보고서, (사)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1999
김승철. (2004). 북한동포들의 생활문화양식과 마지막 희망. 서울: 자료원. pp. 235-240
민성길. (2000). 통일과 남북청소년.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p.93-95.
박윤숙, (2002).「새터민의 남한사회정착과 사회복지적 대응」, 『사회복지정보』, 2002 겨울호
이기영, “탈북자 지원 민간단체와 정부와의 파트너쉽 연구”, 통일부 지원 ‘98신진연구자 북한 및 통일관련 논문집, 1998, pp. 65-129
양무목, (2002).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연구. 통일논총 제 3집 대진대. p. 19
양정훈. (2005). 북한사회의 폭력성이 새터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9권 4호, pp.
엄태완. (2005). 「남북주민 통합을 위한 정신건강전략: 남한 내 북한 이탈주민, 저소득 주민, 일반주민의 비교를 통하여」, 『통일정책연구』. 제14권 1호, 319-324쪽
윤여상, “재외탈북자 지원방안에 대한 고찰- 민간단체의 참여방안을 중심으로”, 탈북동포돕기 대학(원)생 자원봉사자 수련회 자료(비간행물), 통일교육원, 1999.7.15-17.
윤인진,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한국사회학회지, 제33집, 1999a.
이우영. (2003).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정착. 통일연구총서 03-02. pp. 31-33
이태건 외 3명. (2003). 「21세기 북한학 특강」. 서울: 인간사랑. pp.310-311.
조용관. (2004). 북한 정치교육의 내면화가 탈북자 남한 사회적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