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사회와생활문화) 아래 주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직접 답사하고 답사 후 느낀 소감과 현대적 의미를 정리할 것
레포트천사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중어중문학과, 관광학과, 문화교양학과 | 학년 | 4학년 |
---|---|---|---|
과목명 | 전통사회와생활문화 | 자료 | 31건 |
공통 |
※ 아래 주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직접 답사하고 답사 후 느낀 소감과 현대적 의미를 정리할 것 (전체만점: 30점)
1. 마을의 현장 조사-전통마을, 민속마을, 고향마을 2. 생활문화 관련 박물관, 전시관, 자료관(향토자료관), ...
※ 아래 주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직접 답사하고 답사 후 느낀 소감과 현대적 의미를 정리할 것 (전체만점: 30점)
1. 마을의 현장 조사-전통마을, 민속마을, 고향마을 2. 생활문화 관련 박물관, 전시관, 자료관(향토자료관), 유적지 등 3. 내가 경험한 전통생활문화(관혼상제, 지역축제 등) |
소개글
과목명: 전통사회와생활문화주제:
1. 마을의 현장 조사-전통마을, 민속마을, 고향마을
- 북촌 한옥마을의 현장 조사 -
목차
1. 대상 선정의 동기1) 북촌한옥마을의 소개
2) 선정 동기
2. 사전 준비와 진행과정
1) 사전 준비
2) 진행 과정
3. 북촌한옥마을 조사 후 새롭게 느낀 점과 알게 된 생활문화의 내용
1) 새롭게 느낀 점
2) 새롭게 알게 된 생활문화의 내용
4. 문제의식의 제기
1) 전통문화유산의 부족
2) 거주자 불만의 배려 부족
3) 전통 이미지 제고의 부족
4) 이용자 측면의 배려 부족
5) 북촌한옥마을 이미지 정립의 의문점
5. 제언 및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북촌한옥마을의 소개전통마을 중 오늘날 가장 많이 알려진 ‘북촌 한옥마을’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해 있으며 경복궁, 창덕궁, 좀요 사이에 자리 잡은 서울의 대표적인 한옥 밀집 구역이다. 북촌은 종로와 청계천 위쪽에 있다고 하여 지어진 것을 말하며 가회동, 송현동, 재동, 계동 등을 일반적으로 통칭하여 말한다. 북촌의 경우, 조선시대에 조성된 양반층 거주지로 1920년대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1930년대 서울 행정구역이 확장되었고 도시 구조도 근대적으로 변화되면서 옛한옥과 현대적 한옥을 아우르는 한옥 마을이 완성될 수 있었다고 한다.
2) 선정 동기
작성자가 북촌한옥마을을 선정하여 조사하게 된 동기는 북촌한옥마을을 통해 조선시대 거주 지역의 600년 선조의 전통과 민속자료, 문화, 거주 생활양식 등을 다채로운 방식으로 탐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북촌 한옥마을의 경우 조선시대 때 주로 고관대작, 사대부들이 모여 살고 있던 고급 주거 지역이었다. 그만큼 민속자료, 전통 자료가 다른 한옥마을에 비해 잘 보존되어 있고, 조선의 상징이라 할 수 있던 옛 한양 부근의 선조들의 거주 모습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북촌 한옥마을은 골목골목 사이 민속자료가 잘 숨겨져 있으며, 한옥을 포괄하여 도심 속 ‘야외 박물관’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한옥마을 구석구석을 조사하며 현대에 이르러서까지 다양하게 보존되어 온 문화생활 양식과 옛 한옥의 모습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북촌한옥마을은 우리나라 전통적인 한옥 구조가 가지고 있는 정취와 생활양식을 잃지 않고 있다. 이와 더불어 근대적인 도시 생활에도 원활하고 능동적인 적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능동적인 생활양식을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한옥마을을 조사하게 된다면 오래된 전통의 정취와 감동, 북촌 한옥마을이 주는 일상적이고 옛 것의 생활양식 본연의 모습과 이미지를 탐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참고 자료
장은경 외(2010) 공정여행의 국내 사례 : 북촌 한옥마을 공정여행,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학술논문박형우 외(2018) 북촌 한옥 마을의 관광객에 의한 소음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학술논문, 2018
이금실 외(2012) 문화유산 관광지의 여행 경험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 미치는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북촌 한옥마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대한경영학회, 학술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