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서 숲이 점차 감소와 훼손이 진행되어 도시생태계에 위협을 받고 있다
ReportRed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일본학과, 관광학과, 보건환경학과, 농학과 | 학년 | 1학년 |
---|---|---|---|
과목명 | 숲과삶 | 자료 | 37건 |
B형 |
도시에서 숲(도시의 산림을 포함한 녹지공간으로 교재에서 정의하고 있는 숲을 의미함)이 점차 감소와 훼손이 진행되어 도시생태계에 위협을 받고 있다. 도시환경에서 숲의 생태환경 위협요인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의 숲 감소 및 ...
도시에서 숲(도시의 산림을 포함한 녹지공간으로 교재에서 정의하고 있는 숲을 의미함)이 점차 감소와 훼손이 진행되어 도시생태계에 위협을 받고 있다. 도시환경에서 숲의 생태환경 위협요인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의 숲 감소 및 훼손의 원인, 도시의 숲 보전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소개글
"도시에서 숲이 점차 감소와 훼손이 진행되어 도시생태계에 위협을 받고 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서론2. 본론
가. 도시의 숲 감소 및 훼손의 원인
나. 도시 숲의 생태환경 위협요인
1) 대기오염
2) 토양오염
3) 기후변화와 외래종 유입
다. 도시 숲 보전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정기적으로 ‘환경전망보고서’를 발간하여 경제 및 환경 추세에 대한 예측 모델에 기반하여 미래에 예상되는 환경문제들을 ‘신호등’ 체계로 분류하여 나타낸다. 2012년 발표된 ‘OECD 2050 환경전망보고서’에 따르면 산림면적의 지속적인 감소, 압력 증가(예; 토지이용의 변화와 기후변화)로 인한 지속적인 생물다양성 감소, 외래 생물종의 침입 등의 생물다양성에 관련된 문제가 ‘적신호’로 나타났으며 이런 문제들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을 경우, 2050년까지 전 세계 육상 생물다양성은 추가로 10% 더 하락한다는 암울한 예측 결과를 제시하였다. 지난 40여 년이 전례 없는 경제 성장의 모습이었다면 앞으로 40년은 이러한 환경문제들을 어떻게 극복할지 아니 현재 상황을 이대로 유지하기만이라도 한다면 이라는 아주 작은 바람을 가지고 전체론적인 긴급 대응이 필요하다.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초단기간의 경제 성장과 급격한 도시화, 다양한 국토개발 사업으로 대다수 자연환경이 파편화되고 단절되었다. 통계에 따르면 2010에서 2015년 사이 여의도 면적 118배에 달하는 산림 34,228ha가 감소하였으며 급속한 도시팽창과 인간중심의 공간계획, 서식지 감소 등 도시생태계가 훼손되어 도시 사막화, 열섬 현상 등 환경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 과제를 통해 도시 숲의 생태환경 위협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 도시 숲 감소 및 훼손의 원인, 도시 숲 보전방안에 대하여 고민해 보는 것은 매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2. 본론
가. 도시의 숲 감소 및 훼손의 원인
도시 내 산림 면적 감소의 가장 큰 요인은 인간 활동에 따른 토지이용의 변화일 것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산림 면적 추이를 살펴보면, 2010년 말 6,369천 ha였던 산림 면적이 2015년엔 6,335천 ha로 5년간 34,228ha(0.54%) 감소하였으며 원인은 산림이 도로 신설 및 주택건설,......<중 략>
참고 자료
OECD, 「OECD 2050 환경전망보고서」, 2012.e-나라지표 ‘산림 면적 및 임목축적’.
KOSIS 국가통계포털-산림기본통계-‘행정구역별 면적 및 축적[2015]’ 자료 참조.
이상희, 「인천광역시 도시림 식생구조 특성 및 관리방안 연구 : 청량산과 문학산을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2015.
FAO 통계자료-Land use indicators,
검색조건: REGIONS(World+(Total)), ELEMENTS(Share in Forest land), ITEMS(Forest land, Primary Forest, Planted Forest, Other naturally regenerated forest), YEARS(2012, 2017)
e-나라지표 ‘전국 도시숲 현황’.
강희양, 차상은, 하청근, 「도로변 지표생물을 이용한 대기오염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연구』, 제14권 2호, 130쪽, 1998.
우수영, 이성한, 이동섭, 「대기오염 피해를 받은 서울 시내 가로수의 엽록소 함량과 광합성 특성」,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제6권 1호, 24~29쪽. 2004.
정환도, 「대기오염과 식물생태에 관한 기초연구」, 대전세종연구원, 2012.
홍재선, 김학열, 이승주, 「도시특성요소가 서울시 대기 중 이산화질소 오염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제8권 3호, 117~130쪽, 2007.
이승우, 이충화, 변재경, 채광석, 정진현, 성주환, 권태성, 조재형, 김영걸, 『대기오염과 산림생태계 변화』, 국립산림과학원, 2011.
R.J. Olson, D.W. Johnson, D.S. Shriner, 「Regional accessment of potential sensitivity of soil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to acid precipitation」, ORNL/TM-8374,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Oak Ridge, Tennessee, 1982.
조성진, 박천서, 엄대익, 『토양학』, 향문사, 서울, 396쪽, 1994.
이헌호, 김재기, 김재훈, 「인공산성비 살포에 의한 산림토양의 토심별 주요 이온의 동태 분석」, 『자원개발연구논문집』, 제20권 1호, 119-130쪽, 2001.
최원준, 「도시협곡과 가로수 녹화유형 변화에 따른 복사에너지 해석」, 건국대학교, 2020.
안순일, 하경자, 서경환, 예상욱, 민승기, 허창회, 「한반도 기후변화의 추세와 원인 고찰」, 『한국기후변화학회지』, 제2권 4호, 237~251쪽, 2011.
구교숙, 부경온, 권원태, 「최고, 최저기온을 이용한 우리나라 기온변화에서의 도시화 효과 분석」, 『Atmospere』, 제17권 2호, 185~193쪽, 2007.
강윤희, 김유근, 오인보, 황미경, 송상근, 「수도권지역 도시화가 국지기상에 미치는 영향 모델링」,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9권 12호, 1361~1374, 2010.
노태환, 「서울시 도시환경 변화 및 관리에 따른 환경적응형 남산 도시숲 관리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5.
J.O. Luken, J.W. Thiert,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lant invasions」, springer, pp.56, 1996.
공우석, 『한반도의 식생사』, 아카넷, 580쪽, 2003.
조우, 한봉호, 최진우, 노태환, 「원주시 도심 거점산림과 잔존산림의 식생구조 비교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25권 5호, 767~786쪽. 2011.
산림청, 「제2차 도시림 기본계획」.
김민수, 변우혁, 박원경, 김효진, 우재욱, 「녹지활용계약제도의 개선 연구」, (사)한국임학회 정기 학술연구발표회,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