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론 B형) 한국 사회에서 분단은 어떤 식의 사회문제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를 사례
레포트천사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교양과목 | 학년 | 공통 |
---|---|---|---|
과목명 | 사회문제론 | 자료 | 39건 |
B형 |
한국 사회에서 분단은 어떤 식의 사회문제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를 사례를 들어가면서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이 때 분단을 사회문제로서 바라보고자 한다면, 역사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한국 사회에서 분단은 어떤 식의 사회문제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를 사례를 들어가면서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이 때 분단을 사회문제로서 바라보고자 한다면, 역사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포함시켜 서술하시오.
< B형 추천도서 > -김학재 (지은이) | 판문점 체제의 기원 - 한국전쟁과 자유주의 평화기획 | 후마니타스 | 2015년 3월 -서중석, 김득중, 이임하, 양정심, 강성현, 김학재, 연정은 (지은이) | 전쟁 속의 또 다른 전쟁 – 미군 문서로 본 한국전쟁과 학살 |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 2011년 6월 -강만길 (지은이) | 분단고통과 통일전망의 역사 | 창비 | 2018년 12월 -정세현, 이종석, 박영자, 김동엽, 송민순, 김준형 (지은이) | 한반도 특강 - 2020 대전환의 핵심현안 | 창비 | 2018년 10월 -브루스 커밍스 (지은이), 조행복 (옮긴이) |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 - 전쟁의 기억과 분단의 미래 | 현실문화 | 2017년 11월 -박태균 (지은이) | 한국전쟁 - 끝나지 않은 전쟁, 끝나야 할 전쟁 | 책과함께 | 2005년 6월 -정병준 (지은이) |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 - 역사에 휩쓸려간 비극의 경계인 | 돌베개 | 2015년 3월 |
소개글
과목명: 사회문제론 B형주제: B형: 한국 사회에서 분단은 어떤 식의 사회문제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를 사례를 들어가면서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이 때 분단을 사회문제로서 바라보고자 한다면, 역사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포함시켜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한반도 분단이 만든 사회문제
2. 한반도 분단이 만든 사회문제에 대한 극복 노력 사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거 한반도에서 있었던 전쟁은 분단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분단은 전쟁을 낳았다. 그리고 전쟁은 분단을 고착화시켰다. 한반도 분단 그 자체가 2차 세계대전 결과에 따른 강대국의 군사적 행동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볼 때, 한반도 분단은 외세와 민족 간의 군사적인 사건을 출발점으로 한다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특징은 자연스럽게 민족적인 차원에서 정치적인 사건 및 군사적인 사건을 불러올 수 있는 조건으로서 작동하게 되었다.국토의 분단은 한반도에서 두 국가의 수립이라는 정치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그리고 이러한 민족의 분단은 결과적으로 민족 내부의 전쟁을 불러왔다. 민족 분단이 민족상잔의 비극으로 귀결되고 말 것이라고 예측했던 해방 정국 지식인들의 걱정과 우려가 안타깝게도 현실이 되고 말았던 것이다.
그렇다면 한반도에서 있었던 남북 간에 싸움에서 과연 승자는 누구일까? 한국? 북한? 아니면 미국이나 중국? 6.25 전쟁은 우리가 생각하거나 혹은 교육받은 것과 다르게 엄연히 실패한 전쟁이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 있다. 그 책은 <한국전쟁 - 끝나지 않은 전쟁, 끝나야 할 전쟁>이라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인 박태균은 한국전쟁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패러다임을 극복코자 하였다. 그가 책을 통해 이처럼 저술하였던 이유는 한국전쟁이 가지고 있는 보이지 않는 힘을 의식하였기 때문이었다.
한국전쟁의 문제는 책 제목처럼 아직 끝나지 않은 현재의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 사람들은 6.25 전쟁이 무엇이며, 우리나라의 역사상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 사건이었는지, 아울러 그의 현재적인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와 같은 내용을 알지 못하면 현세를 판단하거나 미래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알아야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책을 통해 알 수 있듯 남과 북의 실제 정권들은 한반도에서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6.25 전쟁이 무엇이었는가에 대하여 제대로 알려주고 싶어 하지 않는 듯 했다.
참고 자료
박태균. 한국전쟁 (끝나지 않은 전쟁, 끝나야 할 전쟁). 책과함께. 2005.설원태 기자 외. [한국전쟁 60년](7) 한국전쟁이 남긴 과제 - 한·미·중·일 학자 인터뷰. 경향신문. 2010.6.24.
주봉호. 제8장 한반도 분단의 성격 - 대내외적 요인 -. 한국통일전략학회. 2010.
박순성. 한반도 통일과 민족, 국민국가, 시민사회. 북한연구학회. 2010.
위클리공감. 해묵은 지역갈등 해결 무릎 맞대다. 2010.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