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론 D형)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왜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서 함께 풀어가야 하는지 논하면서
레포트천사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교양과목 | 학년 | 공통 |
---|---|---|---|
과목명 | 사회문제론 | 자료 | 32건 |
D형 |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왜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서 함께 풀어가야 하는지 논하면서,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되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서술하시오.
< D형 추천도서 > -김창인, 전병찬, 안태언 (지은...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왜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서 함께 풀어가야 하는지 논하면서,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되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서술하시오.
< D형 추천도서 > -김창인, 전병찬, 안태언 (지은이), 청년담론 (기획) | 청년현재사 - 당신이 말하는 청년은 ‘우리’가 아니다 | 시대의창 | 2019년 1월 -박정훈 (지은이) | 이것은 왜 직업이 아니란 말인가 - 알바노동자의 현재와 미래 | 빨간소금 | 2019년 1월 -경향신문 특별취재팀 (지은이) | 부들부들 청년 | 후마니타스 | 2017년 7월 -엄기호 (지은이) | 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 - 20대와 함께 쓴 성장의 인문학 | 푸른숲 | 2010년 10월 -한윤형 (지은이) | 청춘을 위한 나라는 없다 - 청년 논객 한윤형의 잉여 탐구생활 | 어크로스 | 2013년 4월 -오찬호 (지은이) |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 괴물이 된 이십대의 자화상 | 개마고원 | 2013년 12월 -조한혜정, 엄기호, 최은주, 천주희, 이충한, 이영롱, 양기민, 강정석, 나일등, 이규호 (지은이) | 노오력의 배신 - 청년을 거부하는 국가 사회를 거부하는 청년 | 창비 | 2016년 4월 -김경화, 이토 마사아키 (지은이) | 21세기 데모론 - 변화를 이끄는 유쾌하고 떠들썩한 저항의 미디어, 데모 | 눌민 | 2018년 11월 |
소개글
과목 : 사회문제론 D형주제 :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왜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서 함께 풀어가야 하는지 논하면서,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되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사회적인 문제로서의 시간제노동자
2. 바람직한 해결방안 - 청년유니온의 사례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최근 우리사회의 노동시장을 보면 시간제 서비스 노동의 위상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시간제 노동이 가지고 있던 통념은 학생의 신분을 가지고 있는 청년들이 학업과 더불어 부수적인 수입을 얻고자 짧은 시간 동안 잠시 일하는 것이었다. 이제는 이러한 관념이 바뀌어 훨씬 더 다양한 계층과 세대가 시간제 노동시장에 유입되고 있다. 불안정한 노동화의 가장 취약한 형태가 시간제 노동이라고 한다면, 시간제 노동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지금의 현상은 곧 불안정한 노동화가 갈수록 전면화되며 심화될 것이라는 하나의 사회적인 차원의 징후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세계적인 사회현상에 대한 연구와 저서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우리나라에서 올해 1월 출간된 박정훈 작가의 ‘이것은 왜 직업이 아니란 말인가 - 알바노동자의 현재와 미래 - 라는 책이 있다. 이 책에 대해서는 본론에서 더 본격적으로 다룰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자본과 관련되어 있는 노동의 종속력이 더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갈수록 대다수의 사람들이 불안정한 상태의 삶으로 내몰리고 있는 사회적인, 경제적인 변동과도 맞닿아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다분히 정치적인 차원의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이 글에서 필자는 시간제 노동자로 임하고 있는 현재 우리사회의 젊은 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들을 위한 온전한 권리를 되찾아주기 위해 어떠한 실제적인 방안이 있을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해보고자 한다.
1. 사회적인 문제로서의 시간제노동자
최근 우리나라 통계청이 공식적으로 비정규직 고용에 대한 통계를 정리한 자료에 따르면 시간제 노동자로 임하고 있는 이들은 전체 임금노동자들 가운데 12.6%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이 분포하여 있는 직업들로는 서비스업이 전체의 22%로 가장 높은 비율로 기록되었다.
참고 자료
박주화. 어떻게 불안정 노동자가 되는가 : 맥도날드 시간제 서비스 노동에 대한 문화정치학적 분석. 경희대학교. 2018.정보영. 청년 불안정 노동자 운동과 담론정치 : 청년유니온이 최저임금 담론과 정책에 미친 영향. 중앙대학교. 2018.
박정훈. 이것은 왜 직업이 아니란 말인가, 알바노동자의 현재와 미래. 빨간소금.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