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론 D형 = )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왜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서 함께 풀어가야 하는지 논하면서, 문제의 해결 방안
ReportRed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교양과목 | 학년 | 공통 |
---|---|---|---|
과목명 | 사회문제론 | 자료 | 32건 |
D형 |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왜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서 함께 풀어가야 하는지 논하면서,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되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서술하시오.
< D형 추천도서 > -김창인, 전병찬, 안태언 (지은...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왜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서 함께 풀어가야 하는지 논하면서,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되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서술하시오.
< D형 추천도서 > -김창인, 전병찬, 안태언 (지은이), 청년담론 (기획) | 청년현재사 - 당신이 말하는 청년은 ‘우리’가 아니다 | 시대의창 | 2019년 1월 -박정훈 (지은이) | 이것은 왜 직업이 아니란 말인가 - 알바노동자의 현재와 미래 | 빨간소금 | 2019년 1월 -경향신문 특별취재팀 (지은이) | 부들부들 청년 | 후마니타스 | 2017년 7월 -엄기호 (지은이) | 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 - 20대와 함께 쓴 성장의 인문학 | 푸른숲 | 2010년 10월 -한윤형 (지은이) | 청춘을 위한 나라는 없다 - 청년 논객 한윤형의 잉여 탐구생활 | 어크로스 | 2013년 4월 -오찬호 (지은이) |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 괴물이 된 이십대의 자화상 | 개마고원 | 2013년 12월 -조한혜정, 엄기호, 최은주, 천주희, 이충한, 이영롱, 양기민, 강정석, 나일등, 이규호 (지은이) | 노오력의 배신 - 청년을 거부하는 국가 사회를 거부하는 청년 | 창비 | 2016년 4월 -김경화, 이토 마사아키 (지은이) | 21세기 데모론 - 변화를 이끄는 유쾌하고 떠들썩한 저항의 미디어, 데모 | 눌민 | 2018년 11월 |
목차
1. 서론2. 본론
1) 한국사회의 청년문제
2) 문제해결방안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청년세대는 무한경쟁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끊임없이 압박받고 있다. 끝이 보이지 않을 만큼 높은 스펙을 쌓고도 원하는 직장에 들어가는 것은 힘든 일이다. 사회 속에 적응하고 도태되지 않기 위해 발버둥 치면서도 이것이 옳은 것인지, 잘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해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방황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변화해나가며 세대별로 접하는 사회의 분위기는 매우 다르다. 1950년 한국전쟁의 영향으로 1950년대 초까지는 정치 사회적으로 불안이 지속되었다. 그 이후 195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베이비붐이 일기 시작했고, 급격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겪었다.
이제 청년문제라는 단어는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단어이다. IMF 이후로 최장 기간동안 경제가 침체되어 있으며, 고용 위기를 넘어서 고용 쇼크 상태로 청년실업은 최고치에 달하고 있다. 사실 면밀히 살펴보면 이러한 문제들은 청년층에만 해당하는 문제인 것은 아니다. 조기퇴직으로 인한 중장년층의 실업도 매우 높은 실정이다.
2. 본론
1) 한국사회의 청년문제
한국사회에서 가장 큰 사회문제로 떠오르는 것 중 하나가 실업문제이다. 청년실업률은 15세에서 29세 사이의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의 비율을 말하는데 KOSIS의 통계에 따르면 2019년 3월 기준으로 청년 실업률은 10.8%로, 47만 3천명에 이른다. 이처럼 학교를 졸업하고 처음으로 사회에 진출하는 청년들이 취직 자체에 어려움을 겪거나 열악한 노동환경으로 인해 이직과 실업을 반복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청년층의 실업률이 높은 수준으로 올라가면 이후에 경기가 회복되거나 오히려 확장하더라도 높아진 실업률은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이를 ‘이력현상’이라고 한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어 업무지식과 경험을 쌓아야하는데, 높은 실업률로 인해 20대 취업을 하지 못함으로 인해 30대 초반에도 취직을 하기가 어려워진다. 나이만 많은 경력도 없는 신입으로 취직하기 힘들어져 40대에 이르러도 지속적인 실업문제 혹은 이직과 실업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 자료
한승훈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2014)육현민, 「대학 졸업생의 첫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0)
진경화, 「청년실업과 고용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핚 정책대학원 석사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