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혁신과뉴스스토리텔링3공통)최근 SNS에서 시작돼 기성매체의 뉴스로 보도되면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사례를 찾아서 다음 항목에 맞게 기술하시오.
passup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미디어영상학과 | 학년 | 3학년 |
---|---|---|---|
과목명 | 미디어혁신과뉴스스토리텔링 | 자료 | 7건 |
공통 |
* 최근 SNS에서 시작돼 기성매체의 뉴스로 보도되면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사례를 찾아서 다음 항목에 맞게 기술하시오.
1. 최초 발단이 된 SNS 게시물 (반드시 게시물을 캡처해서 제시할 것) 2. SNS 상에서의 확산 과정 ...
* 최근 SNS에서 시작돼 기성매체의 뉴스로 보도되면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사례를 찾아서 다음 항목에 맞게 기술하시오.
1. 최초 발단이 된 SNS 게시물 (반드시 게시물을 캡처해서 제시할 것) 2. SNS 상에서의 확산 과정 1) 공감 횟수를 중심으로 한 정량적 확산 2) 댓글 내용을 중심으로 한 정성적 공감 3. 기성 매체의 뉴스화 상황 4. 소셜뉴스로서의 의미 및 사회적 영향 평가 |
목차
1.서론2.SNS의 개념과 특성
3.온라인 뉴스 커뮤니케이션 환경 변화
4.소셜뉴스의 사례(연예인 학교 폭력 폭로 SNS 글 전문)
5.SNS 상에서의 확산 과정
6.소셜뉴스로서의 의미 및 사회적 영향 평가
7.결론
8.참고 자료
본문내용
1. 서론최근의 온라인 뉴스 유통 환경은 소셜 미디어와 결합된 형태를 띠고 있다. SNS의 네트워크적 성격과 더불어 콘텐츠 공유 측면이 강조되어 뉴스 유통과 이용패턴을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인터넷 신문 기사가 유통되는 새로운 창구로 소셜 미디어가 자리 잡고 있는 환경 속에서 ‘소셜 댓글’이 인터넷 신문사와 소셜 미디어를 연결시켜 주는 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소셜 댓글이란, 인터넷 신문사 사이트 내에서 댓글 작성전 소셜 미디어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댓글 작성 후에는 해당 사이트 내 뿐만 아니라 로그인한 소셜 미디어로 기사 URL과 함께 댓글이 업로드 되는 방식의 서비스다. 2010년 7월에 블로터닷넷을 통해 처음 출시된 ‘라이브리(LiveRe)’사의 소셜 댓글 서비스는 2015년 11월 현재 20,980개의 웹사이트에 설치되어 있으며, 국내의 대다수 언론사들 역시 소셜 댓글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그동안 많은 연구들은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이 가져온 저널리즘의 변화를 뉴스 생산에 초점을 맞춰 연구해 왔다. 그러나 SNS의 등장은 저널리즘 영역에서 뉴스 유통의 중요성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킨다. 다른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비교하여 SNS의 주요 가치는 정보전달 및 확산, 참여 및 공유 등에 있기 때문이다. 중요한 점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현상으로서 SNS가 소통주체와 대상, 이들의 관계, 메시지 구성 및 수용방식 등에 변화를 가져왔듯이, SNS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및 전달 방식, 즉 ‘뉴스 소통’ 방식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는 것이다.
2. SNS의 개념과 특성
SNS란 무엇인가? 상호적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상호적 네트워크 사이트(Social Network Site)라고 불렸었지만, 이제 약칭으로 더 많이 불리는 월드와이드웹 기반의 서비스이다. SNS는 최근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사회적·학문적으로 커다란 관심의 대상으로 부상하였다.
참고 자료
임영호·김은미 (2017). 소셜 미디어형 소통방식과 인간관계의 변화. 한국언론학회(엮음), 『한국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249~284).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임종수 (20014. 온라인 뉴스 양식과 저널리즘의 변화.『커뮤니케이션 이론』, 2권 2호, 37~73.
이주현(2016), 뉴스 미디어로서의 트위터, 『한국언론학보』, 55(6),152-180.
김경모 (2014). 새로운 저널리즘 환경과 온라인 뉴스 생산. 『언론정보연구』, 49(1), 7-37.
설진아(2015), 소셜 뉴스의 기사유형 및 뉴스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7(6), 149-175.
최민재·양승찬,『인터넷 소셜미디어와 저널리즘』,서울 :한국언론재단, 2013
한은경 강형구 문효진,『글로벌시대의 소셜미디어 광고전략 연구』,서울:한국방송광고공사,2015.
김선자 (2017). 인터넷 뉴스기사에 달린 댓글의 효과 연구: 이슈의 관여도와 의견의 일치성 여부를 고려해서. 『한국언론학보』, 56권 2호, 143-166.
김경희·윤영민 (2015). 시민기자로서의 블로거의 활동 동기와 뉴스 생산과정. 『미디어 경제와 문화』, 6(4), 40-84.
김명규·이창준·홍아름 (2016). 효과적인 정보 확산을 위한 미디어 이용 패턴 분석. 『정보사회와 미디어』,17(1), 77-113.
김소담·양성병 (2015). 온라인 뉴스 사이트에서의 일반댓글과 소셜댓글의 비교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