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론d =)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왜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서 함께 풀어가야 하는지 논하면서
ReportRed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교양과목 | 학년 | 공통 |
---|---|---|---|
과목명 | 사회문제론 | 자료 | 32건 |
D형 |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왜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서 함께 풀어가야 하는지 논하면서,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되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서술하시오.
< D형 추천도서 > -김창인, 전병찬, 안태언 (지은...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왜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서 함께 풀어가야 하는지 논하면서,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되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서술하시오.
< D형 추천도서 > -김창인, 전병찬, 안태언 (지은이), 청년담론 (기획) | 청년현재사 - 당신이 말하는 청년은 ‘우리’가 아니다 | 시대의창 | 2019년 1월 -박정훈 (지은이) | 이것은 왜 직업이 아니란 말인가 - 알바노동자의 현재와 미래 | 빨간소금 | 2019년 1월 -경향신문 특별취재팀 (지은이) | 부들부들 청년 | 후마니타스 | 2017년 7월 -엄기호 (지은이) | 이것은 왜 청춘이 아니란 말인가 - 20대와 함께 쓴 성장의 인문학 | 푸른숲 | 2010년 10월 -한윤형 (지은이) | 청춘을 위한 나라는 없다 - 청년 논객 한윤형의 잉여 탐구생활 | 어크로스 | 2013년 4월 -오찬호 (지은이) |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 괴물이 된 이십대의 자화상 | 개마고원 | 2013년 12월 -조한혜정, 엄기호, 최은주, 천주희, 이충한, 이영롱, 양기민, 강정석, 나일등, 이규호 (지은이) | 노오력의 배신 - 청년을 거부하는 국가 사회를 거부하는 청년 | 창비 | 2016년 4월 -김경화, 이토 마사아키 (지은이) | 21세기 데모론 - 변화를 이끄는 유쾌하고 떠들썩한 저항의 미디어, 데모 | 눌민 | 2018년 11월 |
목차
1. 서론2. 본론
(1)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사회문제로서 함께 풀어가야 하는 이유
(2) 한국사회의 청년문제 해결 방안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청년은 15-24세에 이르는 사람들을 말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나 국제노동기구(ILO)에서도 청년의 연령을 이와 동일하게 정의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정부부처의 각종 통계에서 15-29세의 연령층을 분리하여 청년의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15-24세, 또는 15-27세를 청년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이처럼 한국에서 청년의 연령이 OECD나 ILO의 기준과 령이 다른 이유는 군 복무로 인해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입이 늦어지며, 재수 또는 휴학 등으로 노동시장 진입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아 외국에 비해 경제활동 개시가 늦어지기 때문이다. 2004년 3월 5일 제정된 ‘청년실업해소특별법 제2조 제1항’에는 청년을 ‘취업을 원하는 자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연령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동법 시행령에는 대통령이 정하는 연령에 해당하는 자라 함은 15-29세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청년실업률은 전체 실업률에 비해 두 배가 넘는 실업률이 계속 유지되고 있으며, 대졸실업자가 증가하고 실업기간이 장기화되고 있다. 또한 많은 청년들이 급여 수준과 근무환경이 직장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며, 임금이 높은 직장을 선호하여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왜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서 함께 풀어가야 하는지 논하면서,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되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서술해보겠다.
2. 본론
(1)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사회문제로서 함께 풀어가야 하는 이유
청년들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초기에 실업상태가 되는 것은 장기적인 고용에 부정적인 전망을 가져온다. 향후 실업상태에 놓일 가능성이 늘어나 고용과 소득기대에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청년들이 실업을 겪으면서 발생하는 노동력의 유휴화는 기존의 인적자본을 감가상각하고 노동을 통해 인적자본을 축적할 기회가 상실된다. 이는 장기적으로 노동시장에 정착하는 정도를 저하시켜 노동력의 유휴화를 심화시키는 악순환을 낳는다.
참고 자료
한국 청년 문제, 무엇이 문제인가? : 비교적 관점에서 본 청년 문제, 김용재, 2016한국 청년실업의 실태와 대응방안, 나성숙,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