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관계론 공통] 산업평화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단체교섭제도와 경영참가 제도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종*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경영학과 | 학년 | 4학년 |
---|---|---|---|
과목명 | 노사관계론 | 자료 | 16건 |
공통 |
산업평화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단체교섭제도와 경영참가 제도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산업평화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단체교섭제도와 경영참가 제도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
소개글
[방통대 경영학과 4학년 노사관계론 공통] 산업평화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단체교섭제도와 경영참가 제도를 비교하여 설명에 대한 방통대 과제입니다.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참고자료로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과제작성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노사관계의 개념
1) 정의
2) 특성
3) 발전단계
2. 단체교섭제도와 경영참가제도
1) 단체교섭제도
(1) 개념
(2) 법적근거
(3) 특성
(4) 대상
2) 경영참가제도
(1) 개념
(2) 배경
(3) 특성
(4) 유형
3) 단체교섭과 경영참가의 전략적 활용
(1) 단체교섭제도
(2) 경영참가제도
3. 우리나라의 노사관계
1) 현황
2) 특징
3) 문제점
4) 개선방안
(1) 정부의 역할
(2) 경영계 측면
(3) 노동계 측면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노사관계의 개념1) 정의
노동자와 사용자의 관계를 말한다. 노동시장에서 노동력을 제공하여 임금을 지급받는 노동자와 노동력 수요자로서의 사용자가 형성하는 관계이다. 단위 사업장에서 노동시장을 매개로 하여 개별 노동자와 사용자가 형성하는 관계를 개별적 노사관계라고 하며 노동자 집단과 개별적 사용자 혹은 노동자 집단과 사용자 집단 간의 관계를 집단적 노사관계라고 한다. 노사관계란 일반적으로 집단적 노사관계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산업화 과정에서 사업장을 중심으로 노사간에 많은 노동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노동자들이 저항하는 과정에서, 노동조합을 조직하게 되었다.
< 중 략 >
2. 단체교섭제도와 경영참가제도
1) 단체교섭제도
(1) 개념
노동조합의 대표자가 소속 조합원의 노동조건과 기타 요구조건에 관하여 경영자와 대등한 입장에서 교섭하는 것을 말한다. 오늘날 노동조합이 그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경로로 되어 있다. 노동조합은 당초에 경제적 약자의 단결체로서 성립된 것이지만 단체교섭권이 법률에 의하여 보장됨으로써 하나의 사회세력으로서 자본가나 경영자에 대응할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오늘날 단체교섭권은 단결권·단체행동권과 함께 노동의 삼권으로서 법률의 보장을 받는 것이 보통이다. 단체교섭의 취급대상이 되는 것이 주로 임금·노동시간·조합원의 인사기준과 같은 노동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포함한다.
(2) 법적근거
단체교섭권은 「헌법」 제33조제1항에서 보장된 권리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은 이에 관해 구체적 보장규정을 두고 있다. ① 단체교섭권의 보장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의 목적으로 들고 ② 정당한 단체교섭의 형사면책을 정하였으며 ③ 사용자의 단체교섭거부를 부당노동행위로 보아 금지하고 ④ 취업시간 중 단체교섭에 대해 임금의 공제가 없는 경우에도 경비원조가 되지 않음을 규정하였다.
참고 자료
최일섭, 최성재(2010)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나남출판사표갑수(2009) 사회복지개론, 나남출판사
김영모(2006) 현대사회문제론, 고헌출판사
옥양련, 박금식(2007) 오늘의 사회문제, 유풍출판사
박정호(2006) 사회문제의 이해 신정출판사
강수돌(2008) 노사관계와 삶의 질, 한울아카데미
박경문, 최승욱(2007) 신노사관계론, 무역경영사
배무기, 조우현(1999) 한국의 노동경제(쟁점과 전망), 경문사
김재구, 노용진(2000) 기업지배구조 변화와 노사관계, 한국노동연구원
김훈, 지식기반경제화와 신노사문화, 한국노동연구원, 1999
국가경영전략연구원, 21세기 신노사관계의 정립방향, 2000
송호근, 세계화와 사회적 합의: 한국적 의미, 노사정위원회, 근간, 2000
강수돌, 정보화와 노사관계의 상관성, 한국산업노동학회, 산업노동연구, 1999
박상언, 다운사이징의 효과와 실행방법에 대한 비판적 재고찰, 한국산업노동학회, 산업노동연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