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논리및논술 A형) ‘영유아기 영어교육’과 관련된 논문 1개, 기사 2개 이상을 읽고, 주제와 관련된 논술문을 작성하시오
수어지교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유아교육과 | 학년 | 3학년 |
---|---|---|---|
과목명 | 교과논리및논술 | 자료 | 19건 |
A형 |
‘영유아기 영어교육’과 관련된 논문 1개, 기사 2개 이상을 읽고, 주제와 관련된 논술문을 작성하시오.
‘영유아기 영어교육’과 관련된 논문 1개, 기사 2개 이상을 읽고, 주제와 관련된 논술문을 작성하시오.
|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영유아기 영어교육’과 관련된 논문
1) 어린이집의 영아조기영어교육 실태 및 원장과 교사의 인식
2) 조기 영어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발음교육 문제에 대한 고찰
(1) 모음
(2) 자음
2. ‘영유아기 영어교육’과 관련된 기사
1) 보완책 시급한 교육부 조기 영어교육정책
2) 교육부, 유아 단계 조기 영어교육 부작용 해소 추진
3) “조기 영어학습 필요”vs“너무 이르면 역효과”
3. 주제와 관련된 논술문
1) 영유아기 영어교육의 찬성론
(1) 언어학적 관점
(2) 신경 생리학적 관점
(3) 사회․심리학적 측면
2) 영유아기 영어교육의 반대론
3) 영유아기 영어교육에 대한 논술문
(1) 교사의 역할 및 우수 교사 양성
(2) 학부모의 역할 및 책임
(3) 올바른 교재 선택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한국사회의 영어교육의 열풍은 영어학습 시작 시기를 앞당기고, 과도한 영어교육의 관심은 내 아이만 늦게 시작하면 뒤처지지 않을까 하는 염려로 영어교육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인식이 학부모들 사이에 자리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부모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사설 교육기관 역시 신입생 원아 모집 홍보와 기존재원 확보를 위해 영어교육의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유치원은 방과 후 특성화활동이라는 범위 내에서 영어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어린이집 역시 정규교육과정이 아닌 특별활동이라는 명목으로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정식 교과로 채택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영어교육이 이루어지다보니 영어교육의 대상 연령이 유아는 물론 유치반 영아에게로 점차 확대되었다. 이는 영유아를 위한 표준보육과정이나 영아교육과정에는 영어교육에 관한 내용이 제외되어 있으므로 현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교육의 목적 및 방법이 유아는 물론 영아에게 타당한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영유아기 영어교육’과 관련된 논문 1개, 기사 2개 이상을 읽고, 주제와 관련된 논술문을 작성해 보겠다.
Ⅱ. 본론
1. ‘영유아기 영어교육’과 관련된 논문
1) 어린이집의 영아조기영어교육 실태 및 원장과 교사의 인식(배미숙, 2010,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어린이집의 영아조기영어교육의 실태 및 원장과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조기영어교육의 실태는 어린이집 영아의 조기영어교육은 과반수 이상이 실시하고 있었으며, 생후 24~36개월 영아를 주 대상으로 하여 원장의 교육방침에 따라 주 1~2회, 하루 30분미만 실시하였다. 영어교육은 영어를 전공한 한국인 방문교사가 주로 교육을 담당하고 그림카드, 그림책, 동화책 등을 사용하여 간단한 회화를 중심으로 노래와 손유희, 이야기나누기 또는 따라 하기, 게임방식으로 교육이 진행되고 있었다.
참고 자료
김도임 (2001). 취학 전 아동의 영어 교수요목 모형 개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김성민 (2003). 어린이집에서의 영어교육 실시현황 및 원장의 인식조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권오희. (2015). 유치원 영어 수업에서 모국어 허용이 유아의 영어 말하기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지영. (2016). 유치원 영어전담 교사의 전공에 따른 유아 영어교육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은경 (2003). 유치원과 어린이 집에서의 조기영어교육의 실태와 인식조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수향 (2012). 한국인과 원어민 유아영어교사의 자질 및 교수효능감 비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