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와 예술 D1)교재 14장 [취미로서의 먹고 마시기]의 내용을 참조하시면서 요즘 우리 텔레비전에서 유행하고 있는 이른바 “먹방
레포트천사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교양과목 | 학년 | 공통 |
---|---|---|---|
과목명 | 취미와예술 | 자료 | 57건 |
D형 |
교재 14장 [취미로서의 먹고 마시기]의 내용을 참조하시면서 요즘 우리 텔레비전에서 유행하고 있는 이른바 “먹방”에 대해 분석해 보십시오. 분석을 하실 때는 먼저 분석의 대상이 된 먹방 프로그램의 개요에 대해 간략히 서술해 주시...
교재 14장 [취미로서의 먹고 마시기]의 내용을 참조하시면서 요즘 우리 텔레비전에서 유행하고 있는 이른바 “먹방”에 대해 분석해 보십시오. 분석을 하실 때는 먼저 분석의 대상이 된 먹방 프로그램의 개요에 대해 간략히 서술해 주시고(A4용지 1장 반 이하), 그 프로그램은 먹고 마시기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으며 그것은 우리 사회 구성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을지에 대해 분석해 주십시오(30점).
|
소개글
과목명: 취미와 예술 D형주제: 교재 14장 [취미로서의 먹고 마시기]의 내용을 참조하시면서 요즘 우리 텔레비전에서 유행하고 있는 이른바 “먹방”에 대해 분석해 보십시오. 분석을 하실 때는 먼저 분석의 대상이 된 먹방 프로그램의 개요에 대해 간략히 서술해 주시고 (A4용지 1장 반 이하), 그 프로그램은 먹고 마시기를 어떻게 취급하고 있으며 그것은 우리 사회 구성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을지에 대해 분석해 주십시오(30점).
목차
Ⅰ. 서 론Ⅱ. 본 론
1. 먹방의 개요
2. 우리나라 음식 프로그램
1) 우리나라 음식 프로그램의 변천사
2) 현재 방영 중인 음식 프로그램
3. 먹방 프로그램 - “맛있는 녀석들” 소개
1) 먹방 프로그램에서 표현된 먹고 마시기 행위
2) 먹방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먹고 마시기 문화의 영향
① 긍정적 영향 : 1인 가구의 사회적 허기를 채워주는 먹방
② 부정적 영향 : 무례한 식사예절 전파 및 성차별적 담론 형성
Ⅲ. 결 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현대 사회로 접어들면서, 식사는 더 이상 생존의 욕구를 채우는 행위가 아니게 되었다. 단순하게 해결해야 하는 행위가 아닌, 즐기는 행위로서 여기는 사회적인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사람들은 음식에 대해 더 많은 시간과 관심을 투자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사람들은 음식이라는 것에 대해 서로 공감대를 이루며 그들만의 사회를 형성하기도 한다. 인간은 생존의 욕구를 가지고 있기에 본능적으로 먹을 것을 찾고 탐색하려는 생존본능이 있는 것처럼, 즐거움과 유희를 추구하는 유희적 동물이기도 하다. 이렇게 먹는 것과 즐거움은 인간의 근원적인 동기라는 점에서 서로 유사하다. 이러한 인간 내적인 욕망을 추구하는 음식 프로그램은, 음식 내용을 포함하며 즐거움의 기능도 포함한다는 점에서 인간의 다양한 기능들을 연결해주는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Ⅱ. 본 론
1. 먹방의 개요
최근 대한민국은 음식, 요리, 먹방 프로그램이 절정기인 시기를 맞고 있다. 먹는 방송의 줄임말인 ‘먹방’과 기존에 존재하던 요리하는 방송, ‘쿡방’이 열풍이다. 다양한 사이트에서 먹방을 주도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만든 요리, 혹은 구입해 온 음식들을 맛있게 먹으며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유도하며, 인간의 식욕과 즐거움의 본능을 깨운다. 자신들이 먹는 모습을 통해 시청자들은 공감하고, 대리적으로 욕구충족감 및 만족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최근 지상파에까지 유행하고 있는 먹방 프로그램의 개요와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먹고 마시기, 그리고 그로 인해 사회 구성원들이 받을 영향들을 분석할 것이다.
먹방은 먹는 방송이라는 뜻의 줄임말이다. 이러한 미디어 현상은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음식 문화의 체계, 그리고 그것과 연관된 사회 문화적 요소들 간의 관계를 다양하게 재현하고 보여주는 수단이다. 이것은 기존의 미디어가 다루어온 음식문화에 대한 지배적인 코드를 흥미롭게 변화시키거나 배반한다.
먹방은 인터넷 개인 방송 웹사이트인 '아프리카 TV'라는 곳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참고 자료
홍석경, 박소정. (2016). 미디어 문화 속 먹방과 헤게모니 과정. 언론과 사회, 24(1), 105-150.김광석(2015). 싱글족(1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시사점. <<경제주평>>. 현대경제연구원.
최강민. (2015). 먹방 전성시대를 해부하다. 플랫폼, 3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