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한문학 이해)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17세기 조선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
레포트천사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국어국문학과 | 학년 | 4학년 |
---|---|---|---|
과목명 | 한국한문학의이해 | 자료 | 7건 |
공통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17세기 조선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에 대해 서술하시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17세기 조선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에 대해 서술하시오.
|
소개글
과목명: 한국한문학의이해주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17세기 조선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에 대해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Ⅱ. 이론적 배경
1. 한국 한문학의 정의
2. 한국 한문학의 성격
3. 한국 한문학의 범주와 갈래
Ⅲ. 17세기 조선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
1. 조선시대의 한문학의 경향
2.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 한문학에 미친 경향
1) 전쟁의 기록사
2) 민족 수난과 체험의 기술
3) 전쟁을 비평한 비평 문학
4) 현실적 경향
5) 비판적 경향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한문으로 쓰여진 우리 선조들의 문학작품 자체를 ‘한문학’이라고 한다면 한문학을 연구하고 특성을 파악하는 것 또한 역사에 대한 연구이자 우리 선조들의 사상을 이해하고 당대의 역사를 고찰할 수 있는 가치적인 일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한문학이 국문학의 포괄적인 성격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논의 끝에 한문학의 여러 갈래와 범주를 통해서도 체계적으로 이해되고 연구되고 있는 양상 또한 볼 수 있다. 그 중 조선시대의 한국한문학에 대한 연구 또한 전개되고 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수차례 전란 끝에 새로운 경향으로 전개된 한국한문학의 특성과 근대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문학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래에서는 한국한문학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함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17세기 조선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한국 한문학의 정의
우리의 정서와 문화, 혼이 담겨 있다고 여겨지는 한국한문학이라는 개념은 중국에서 유래된 개념일 것이다. 한자로 기록된 문학 자체를 우리 한국은 한문, 한문학, 한학이라는 용어를 들며 사용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인들의 처지에서 이러한 ‘한문학’의 용어는 어색한 것이 아니었다. 그들 또한 한문당시(漢文唐詩)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한문이란 한 대의 문장이라는 개념으로 쓰였고, 한학은 송학(宋學)에 대한 대칭으로 사용돼 한 대의 유학을 배경으로 하여 한 제반 학문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학이 우리나라에서 사용돼 중국문자로 기술된 것을 우리 한문학, 한국한문학이라는 명칭으로 불려왔던 것은 이 땅에는 한문 내지 한문화가 옮겨지면서 그 뿌리를 내려온 것이 한 대였고 한나라의 세력은 중국을 대표할 수 있는 상징적 위력을 가졌기 때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강철주, ‘새롭게 조명되는 한국한문학’,대한출판문화협회,출판저널,1988채미화, ‘중국에서의 韓國 漢文學 연구 현황과 과제’,韓國漢文學會,학술논문,2004
김영, ‘한국한문학의 중국문학 수용과 창의적 발전 -국문학의 외국문학 수용 연구사, 한문학의 경우,한국고전문학회,학술논문,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