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한문학의 이해)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17세기 조선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 (1)
레포트천사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국어국문학과 | 학년 | 4학년 |
---|---|---|---|
과목명 | 한국한문학의이해 | 자료 | 7건 |
공통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17세기 조선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에 대해 서술하시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17세기 조선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에 대해 서술하시오.
|
소개글
과목명: 한국한문학의이해주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17세기 조선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에 대해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Ⅱ. 본론
1. 한문학(漢文學)의 개념
2. 조선시대 한문학의 특성
1) 고문 문(文)법
2) 한국 문언문 문법
3) 작가의 정서적 평가
3. 조선한문학 배경
4.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17세기 조선 한문학 새로운 경향
1) 시가 문학
2) 소설문학
3) 세계관에 대한 반성
4) 악부체 한시 경향
5) 시풍의 발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학작품을 시대에 따라 구분하는 것에는 큰 의미가 있다. 대체로 우리나라의 한문학의 경우 임진왜란, 병자호란인 양란을 기점으로 하여 한문학을 구분하고 전후에 따른 시대상을 반영한 한문학을 이해하고자 하는 데에 실제로 큰 의미가 있다. 조선시대의 경우 양반관료국가로 특징을 지을 수 있다. 이러한 국가 통치체제는 15세기에 완성되었고, 16,17세기에 이르러 붕당정치와 공론정치의 성격을 띠고 발전하게 된다. 19세기에 이르러서는 근대화라는 복잡한 시대상에서 한문학이 쇠퇴하는 길로 접어들게 되지만 500년의 역사에서도 한문학은 선조들의 역사와 문학적 가치를 함구하고 역사와 시대적 연구를 하는 것에도 그 계략적인 특징, 경향을 연구하는 데에도 오늘날 깊은 가치를 가진 목적이 있다. 500여 년의 세월에서 한문학은 몇 단계로 구분하게 된다. 즉 건국초기부터 15세기까지는 조선조 한문학의 정비 기였다. 정치가 주자학 이념체계를 핵심으로 해 발달했던 것처럼 문학 또한 이론적 체계를 수립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선비들은 이 시대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 양란을 겪고 은닉하려는 경향, 비판적 세계관 등의 문학적 경향이 나타났고 평민 문학 또한 발달할 수 있었다. 즉 이로 인해 조선학문학 특징은 법 자연 경지를 서정화하고 있는 내용이 많이 드러나고 있다. 하지만 17세기에 이르러서는 자아 각성, 실증성이 더욱 고조되던 시기였다. 즉 평민소설 또한 발달되면서 현실인식이 더욱 제고된 것이다. 종래의 학문 체계를 비판하거나 이용후생 또한 도모했다. 따라서 조선한문학은 수많은 가치와 역사적 사실을 내포하고 있고 우리는 이러한 문학적 유산을 함구하고, 그 문학이 반영한 시대상과 역사적 가치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 가치가 발견된다. 즉 한문학은 우리의 당당한 문화적 유산이라는 것에서도 한문학을 연구하고, 이해하려는 경향 또한 나타나고 있으며 각 시대를 반영한 한문학의 특성, 흐름을 살펴보는 것은 우리민족을 이해하고 역사적 흐름을 연구하는 것에서도 큰 함의가 존재한다. 아래에서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17세기 조선 한문학 새로운 경향을 서술하도록 한다.<중략>
참고 자료
김진균, ‘「조선문학원류초본(朝鮮文學源流草本)」을 통해 본 정인보(鄭寅普)의 '조선문학' 구상’,泮橋語文學會,학술논문,2015이상현, ‘근대 조선어․조선문학의 혼종적 기원-「조선인의 심의」(1947)에 내재된 세 줄기의 역사’,근대 조선어․조선문학의 혼종적 기원-「조선인의 심의」(1947)에 내재된 세 줄기의 역사,학술논문,2010
이가원, ‘한국한문학사’, 보성문화사,2005
이종건, 이복규, ‘한국한문학개론’,보진재,1997
한국 한문학사, 보성문화사, 2013.
이병주 한국한시의 이해, 민음사,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