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성혜, 학교폭력 현황: 유형별 통계결과에 나타난 학교폭력 실태, 교육개발, 2005.
· 교육과학기술부,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부모 훈련 프로그램 및 연수 자료집, 교육과학기술부, 2012.
· 김갑성,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2008.
· 김명랑 외, 방과 후 학교 참여 및 EBS 시청이 고등학생의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2014.
· 김명진,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2011.
· 김미란 외, 직업교육투자의 사회경제적 효과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 김민성, 수업에서의 인성교육 원리, 교육심리연구, 2014.
· 김성태, 학교폭력예방법에 대한 고찰: 법적용 실제에 있어서의 문제를 중심으로, 홍익법학 제16권 제3호, 2015.
· 김위정, 계층 간 학력 격차의 변화, 한국교육사회학연구, 2012.
· 김은정, 가정환경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2.
· 김이경 외, 교원능력개발평가 만족도조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30권 제4호, 한국교육행정학회, 2012.
· 김현정, 한국의 학벌주의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2006.
· 김혁, 학교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24권 제2호,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 문용린 외, 학교폭력 예방과상담, 학지사, 2006.
· 박병영 외, 교육과 사회계층이동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 박순홍․한기순, 사교육과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중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013.
· 박혜영, 서울시 소득과 교육불평등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2007.
· 박현정․김혜지, EBS 수능강의 수강이 교육격차 감소와 학교수업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교육평가연구, 2013.
· 백명희, 공교육과 사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만족도 비교, 경북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6.
· 범정희, EBS 수능강의가 교육격차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 2008.
· 서영진, 국어과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방법 탐색, 국어교육, 2013.
· 이경희,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사회학연구, 2011.
· 이수정, 명문대 중심 대입관과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계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7.
· 이승현,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개정내용 및 개선방안, 형사정책연구 제23권 제2호, 2012.
· 이존구, 인성교육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2003.
· 장윤수․김영필, 한국 다문화사회와 교육, 양서원, 2012.
· 정은옥, 사교육의 운용실태와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6.
· 정진상, 대학서열체제와 그 해소방안, 역사비평, 제92권, 2010.
· 조용만 외, 연령․학벌․학력 차별시정 국가정책계획수립을 위한 기초현황조사, 국제노동법연구원, 2004.
· 조원탁 외,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실천, 양서원, 2012.
· 최운선, 학교폭력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복지학, 2005.
· 최준환 외,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창의력교육연구, 2009.
· 최효진,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 피해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6.
· 홍영란 외, 기업의 직원채용 및 승진 등에 학벌이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정책연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