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선*
다운로드
장바구니
과제정보
학과 | 생활과학과, 교육학과, 유아교육과, 청소년교육과, 사회복지학과 | 학년 | 1학년 |
---|---|---|---|
과목명 |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자료 | 19건 |
C형 |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
소개글
본인이 직접 작성했습니다. 참고 하시어 좋은 성적 거두시길 바랍니다.목차
Ⅰ. 서 론Ⅱ. 본 론
1. 주요개념
(1) 모방
(2) 인지
(3) 관찰학습의 단계
① 주의과정
② 파지과정
③ 재현과정
④ 동기과정
2. 반두라 이론의 특징
3. 반두라 이론의 의의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Skinner이론에서 보면, 학습은 흔히 유기체가 배우기 위해서는 행동해야만 하는 점진적인 과정으로 보인다. 유기체는 반응을 방출하며, 이 반응은 점차로 그 반응의 결과에 의해 조성되어진다. 그러나 A. Bandura는 사회적 상황 속에 있는 사람들은 단순히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훨씬 더 빨리 학습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아동들이 새 노래를 배우거나 그들의 부모를 흉내낸 소꿉놀이를 할 때, 이들은 종종 새로운 행동의 긴 계열을 즉각적으로 재현한다.
우리는 많은 종류의 모델을 통하여 살아 있는 모델뿐 아니라 텔레비전을 보거나, 책에서 읽는 것과 같은 상징적 모델을 통하여 학습한다. 이번 과제에서는 행동발달에 대한 사회적 학습이론의 입장과 반두라 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 본 론
1. 주요개념
(1) 모방
반두라는 사회학습에 있어서 중요한 과정은 모방이라고 하였다. 새로운 반응들은 학습될 수 있고, 현존하는 반응의 특징들은 직접적 강화를 받지 않고도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반응결과를 통해서 변화될 수 있다.
참고 자료
아동발달과 교육심리의 이해(2010년), 이대식외6명, 학지사새로운 교육심리학(2013년), 강명희,강봉규, 태영출판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2011년), 김매희외 2명, 형설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