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작물학2B형 2018)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하시오-식용작물학2B형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하시오(농학과 4학년 식용작물학2 B형 레포트)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 방송통신대 식용작물학2 B형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하시오 감자의 수확후 저장의 중용성
- 최초 등록일
- 2017.03.06
- 최종 저작일
- 2017.03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과제정보
학과 |
농학과 |
학년 |
4학년 |
과목명 |
식용작물학2 |
자료 |
3건
|
B형 |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하시오.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하시오.
|
소개글
2018년 1학기 농학과 식용작물학2 B형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하시오에 대한 레포트입니다.
▣ 식용작물학2 B형 과제물에 맞게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해 놓았습니다.
▣ 식용작물학2 B형 과제물에 맞게 수확 후 저장방법에 대해 알아보며 어떠한 요인들로 감자의 손실이 발생하는지 정확하게 작성하였습니다.
▣ 식용작물학2 B형 과제물에 맞게 쓸데 없는 자료를 첨부하지 않고 필요한 자료들로 편집해 놓아습니다.
▣ 식용작물학2 B형 과제물 과제시 참고하시면 좋은 참고자료를 보시게 되실겁니다.
목차
Ⅰ.서 론
Ⅱ.본 론
1.감자의 특성
1) 감자의 생물학적 특성
2) 좋은 감자 품종
3) 감자의 수확 방법
2.감자와 관련된 병해충
3.감자의 수확 후 주요 손실
1) 감자의 수확 후 손실 요인
2) 감자의 수확 후 손실방지를 위한 방법
4.감자의 수확 후 저장방법
1) 감자 수확 후 저장방법의 중요성
2) 예비저장
3) 감자를 저장하는 데 있어 저장환경의 중요성
4) 감자 용도별 저장 조건
Ⅲ.결 론
본문내용
Ⅰ.서 론
식용작물학2에서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하는 것은 중요하다. 감자는 저장할 때 생물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동물도 온도와 습도, 공기조건 등 환경이 적절하지 못하면 생명을 유지하기가 힘들다. 생물인 감자도 온도와 습도, 공기조건 등 환경이 적절하지 못하면 생명을 유지하기 힘들다. 실제로 수확한 감자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하면 장기간 저장하는 데 유리하다. 감자를 수확한 후 예비저장을 통하여 숨 고르기를 하고 본 저장 시에 용도에 맞게 온도, 습도 및 환기를 잘 해주어야 한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원리를 기본으로 하여 감자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며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본 론
1.감자의 특성
1) 감자의 생물학적 특성
감자의 생물학적 특성으로 먼저 감자는 지상부 줄기, 잎, 꽃, 과실 및 씨 등과 지하부 뿌리, 땅속줄기, 덩이줄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덩이줄기가 양분의 저장기관으로 식용하는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감자는 씨감자에서 나온 싹이 땅위로 올라와 줄기가 되며 줄기에서 땅속줄기가 자라게 되고 땅속줄기 끝이 부풀어 올라 덩이줄기가 된다. 또한 감자는 줄기가 자라는 모양, 꽃의 색, 덩이줄기의 모양이나 색 등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품종을 구별하는데 중요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중 략>
2.감자와 관련된 병해충
홍색부패병
홍색부패병은 생육후기에 고온과 과습을 피하고 과습지에서 발생이 확인되면 분리 수확하는 것이 좋은데 이것은 병든 감자가 저장 중 2차 전염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홍색부패병은 감자 수확기에 주로 발생하며 덩이줄기 외부는 연갈색으로 부패 증상이 나타나고 내부는 삶은 감자처럼 스폰지 형태로 변하고 냄새가 없으며 덩 이줄기 절단면은 핑크색으로 변색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현재는 홍색부패병에 강한 저항성 품종이 없고, 등록된 방제 약제도 없어 과습지나 발생이 확인된 밭에는 일정기간 감자를 재배하지 않는 것이 좋다.
참고 자료
류수노 외. 식용작물학2.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농촌진흥청 사이버 농업기술 교육 감자
전용익. 감자의 수확 후 저장방법. 월간 농업기술 2월호」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